땀 많이 흘려 탈수땐 고혈당혼수 등 합병증 위험↑
발이 붉거나 검게 변하고, 상처가 사소해도 병원을
과일은 식사 후 소량씩…국수, 무순·콩나물과 함께

'당고당락(糖苦糖樂)'. 국민 건강의 길잡이로 헬스케어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매경미디어그룹 매경헬스가 대한민국에서 당뇨병을 퇴치하기 위해 당뇨병 및 당뇨병 예비군들과 함께 '고통'과 '기쁨'을 함께 하겠습니다.
당뇨병은 발병 전단계라면 식·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건강한 상태로 돌아갈 수 있지만, 한번 당뇨병이 발생하면 완치가 불가능합니다.
우리나라는 30세 이상 성인 526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고 당뇨병 예비군, 즉 발병 전단계는 약 1500만명에 달합니다. 약 2000만명이 '당뇨병 쓰나미'에 노출되어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10명중 6명에 불과합니다. 당뇨병이 무서운 것은 합병증 때문입니다. 당뇨병은 심근경색, 뇌졸중, 당뇨병성 신증 등을 비롯해 암, 치매의 발병 위험을 높입니다. 또한 평균 수명이 10년 줄어든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매경헬스는 '당고당락' 캠페인을 전개해 당뇨병 환자들과 동고동락하며 혈당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당뇨병 예방을 위해 국내외 다양한 정보를 생생하게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편집자주)

장마철은 혈당 관리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습도와 더위에 입맛을 잃어 건강한 식사를 챙겨 먹기 어렵고, 잦은 비와 습도로 외부활동이 어려워지면서 꾸준히 운동하기도 어렵다.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조윤경 교수는 "덥고 습한 날씨에 땀을 많이 흘리면 탈수가 되기 쉽고, 당뇨병 환자는 탈수가 되면 고혈당혼수 등의 급성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당뇨병 환자는 368만 7000여 명으로, 2021년에 집계된 353만 7000여명에 비해 약 15만명이 증가했다.
무더운 여름철은 고온다습해 양말을 신지 않고 맨발로 다니는 경우가 있는데, 당뇨 환자에게 매우 위험하다.
당뇨발은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발에 생기는 신경병증, 구조적 변형, 피부 못(굳은살), 피부와 발톱의 변화, 발의 궤양, 감염, 혈관질환 등을 통칭해 일컫는 말이다.
당뇨발이 진행되면 작은 상처도 낫지 않고 궤양이 된다. 심하면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까맣게 썩게 된다. 발에 상처가 생겨도 잘 느끼지 못한다. 치유력과 세균에 대한 저항력도 떨어진다. 조윤경 교수는 "가벼운 상처도 급속히 진행해 궤양이나 괴저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최악의 상황으로는 발을 절단해야하는 경우도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가장 처음 나타나는 증상은 신경장애로 인한 이상감각인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발이 시리고 저리고 화끈화끈한 증상이 느껴진다. 환자 개개인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는데, 이것이 더 진행되면 발에 무언가 붙어 있는 느낌이나 발을 밟을 때 마치 모래나 구슬 위를 걷는 느낌 등 다양한 이상감각을 호소하게 된다.
여름은 당뇨병 환자들이 특히 조심해야 할 계절이다. 장마철에는 주변이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바뀌는데다 맨발로 다니기 쉬운 여름철엔 발에 상처가 잘 난다. 발의 갑작스러운 변화에는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발의 색이 붉거나 검게 변하는 경우 수포, 궤양 등 사소한 상처가 생기더라도 초기에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자기 전에는 발을 비누로 청결히 닦고 잘 건조시킨다. 맨발은 상처가 나기 쉬우므로 절대로 맨발로 다니지 않는다. 또한 본인의 발 크기와 잘 안 맞는 신발을 피하고, 신발을 신기 전 신발 안쪽에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한다. 티눈이나 굳은살이 심한 경우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최선의 치료법은 지속적인 관리다. 조윤경 교수는 "당뇨병이 있는 사람에게 발은 얼굴보다 중요하다. 세수는 안 해도 발은 최소한 하루 한 번 이상 닦고 정성스럽게 관찰하면 작은 상처로 발을 잃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여름철이 되면 덥고 습한 날씨에 입맛을 잃기 쉽다. 비빔국수나 냉국수 한 그릇을 후루룩 마시거나 밥에 찬물을 말아 장아찌나 젓갈을 올려 한 끼를 때우고 싶은 유혹이 자주 든다.
하지만 이런 식사가 혈당 조절에는 최악일 수 있다. 탄수화물 비율이 지나치게 높고, 채소나 단백질은 적어 영양적 불균형을 초래할 뿐 아니라 정제된 탄수화물로 인해 혈당도 쉽게 오른다. 국수 한 그릇을 먹는다면 면과 함께 콩나물이나 숙주, 무순과 같은 채소를 함께 먹도록 한다. 비빔양념장에 소금과 설탕은 적게 넣는 게 좋다. 흔히 먹는 여름과일 역시 당을 올리는 주범이다. 수박이나 참외, 포도 등 수분과 당이 많은 과일보다는 토마토 같은 채소가 건강에 유익하다.
조윤경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과일은 식사 후 수박이나 참외 한쪽, 오렌지 반 개, 키위 반 개~한 개 등 소량씩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본 캠페인은 매경헬스가 주최하고 당이락이 후원한다.
이병문 의료전문기자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 단백질 음료 인기 여전… 한 달에 50만 병씩 팔린 '이 음료' 는?
- [당고당락] 당뇨병 의심증상 '삼다三多'란 무엇인가요?
- [당고당락] 당뇨병성 백내장, 진행속도 빠르고 회복 더뎌
-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제철 과일, 100g당 칼로리 얼마?
- 당뇨 잡아라…'혈당조절' 건기식 매출 3년 새 25% 껑충
- 건강 필수 조건 '혈당'…관련 제품 시장도 꾸준히 성장
- [당고당락] 똑똑한 '연속혈당측정기' 당뇨병 관리 효과 높인다
- [당고당락] 설탕 없는 '제로' 식품 인기…혈당 관리에도 도움될까?
- 꿉꿉한 날씨, 장마용품 수요 폭증…"건강 지키는 방법은?"
- [당고당락] 혈당을 천천히 올리는 식사 방법…'이렇게' 드세요
- [당고당락] 탕후루 그만!…2030 당뇨 급증에 '저속 노화' 관심 쑥
- '레인부츠'로 멋 부리다 건강 상한다...주의해야 할 증상은?
- [헬스리서치] 당뇨병, 얼마나 알고 계세요?
- [당고당락] 고혈당이 '실명' 일으킨다?…"젊은 당뇨 환자도 주의"
- [당고당락] '당뇨'라면 운동 전 꼭 확인해야 할 '이것'
- [당고당락] 당뇨 환자가 주의해야 하는 영양제는 'O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