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캡 성장·수액제 회복… 전문의약품 고성장
음료부문 부진… 연말 컨디션 매출 등 지켜봐야
![HK이노엔 스퀘어. [사진=HK이노엔]](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511/76165_85457_02.jpg)
HK이노엔이 연매출 1조원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주력 제품인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의 견조한 성장세와 병원 처방 시장(ETC) 호조가 실적을 견인한 가운데, 남은 변수는 H&B(건강기능식품·뷰티) 부문 반등과 케이캡 기술료(로열티) 인식 시점이 될 전망이다.
최근 HK이노엔이 발표한 영업실적 잠정공시에 따르면 올 3분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7% 증가한 2608억원, 영업이익은 16.4% 뛴 259억원을 기록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률은 9.9%로 10%에 육박했다. 회사 측은 3분기 실적과 관련해 "전문의약품(ETC) 사업부문에서 케이캡 판매 및 로열티 증가와 수액 부문 성장으로 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전문의약품이 형님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3분기 ETC 매출액은 2457억원, 영업이익은 305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9.1% 늘었고, 영업이익은 53.6% 급증했다. ETC만 놓고 보면 영업이익률은 12.4%로 두 자릿수로 나타났다.
대표선수인 케이캡은 국내에서 전년 대비 31.8% 증가한 438억원, 수출은 7.3% 늘어난 26억원으로 400억원 중반 수준의 수익을 내면서 ETC 호실적을 견인했다.
![전문의약품 부문 매출액 추이. [사진=HK이노엔 IR자료]](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511/76165_85458_144.png)
의정갈등 당시 입원환자 감소 등으로 주춤했던 수액제 매출도 회복하면서 힘을 보탰다. 3분기 수액제 매출은 13.9% 늘어난 388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초수액과 영양수액 모두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보였다.
전공의 파업 사태가 마무리되면 병상 가동률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 관계자는 "전공의들이 복귀하면서 환자 수도 늘고 있다. 의정갈등 이전 수준은 아니지만 입원 등을 감당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기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수액제부문까지 살아나면서 HK이노엔 ETC 사업부는 당분간 양호한 성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HK이노엔 매출 구조를 살펴보면 케이캡이 회사 전체 매출의 5분 1 정도를 담당한다. 수액제 매출은 약 13%로 케이캡 다음으로 비중이 높다.
ETC는 선전했으나 H&B부문 부진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H&B부문의 3분기 매출은 15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4.7% 빠졌다. HK이노엔 관계자는 H&B부문 실적과 관련해 "지난 6월~7월 진행된 헛개수, 티로그, 새싹보리 등 제품 회수가 있었고, 7월 4주차부터 다시 판매에 들어갔으나 매출 회복세가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HK이노엔은 당시 품질 관리 집중 강화 기간 내 실시한 음료제조사 제조라인 점검 중 품질 우려사항이 발견돼 선제적 회수를 진행한 바 있다. 당초 계획대로 7월 말부터 판매를 재개했으나 판매량 회복은 더딘 모습이다.
업계는 연초부터 올해 1조클럽이 유력한 업체로 HK이노엔을 꼽았다. H&B부문 매출 타격이 있었으나 올 3분기 누적 매출액은 7712억원으로 작년과 비교해 16.6% 늘었다. 금융투자업계는 케이캡과 수액제의 안정적 성장 등으로 올해 HK이노엔이 1조원 초반대 매출을 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조 클럽 가입을 위해선 모든 역량을 다 끌어 모아야 하는 상황이다. H&B부문 매출 회복과 케이캡 기술료 수익 등이 막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신영증권은 "음료 리콜이슈의 빠른 후속처리 완료 및 공급 정상화와 연말 컨디션 매출 회복이 실적의 열쇠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
해외서 발생하는 케이캡 관련 수익은 완제품 수출과 기술수출로 구분된다. 완제품은 제품 출하 금액으로 케이캡 품목 매출에 반영되고, 기술수출에 따른 기술료와 로열티 등은 전문의약품 기타 매출에 따로 잡힌다.
올 상반기 케이캡 기술료를 포함한 용역 및 기술료 등 기타 매출은 74억원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올해 HK이노엔의 연간 로열티 수취액이 작년의 두 배 수준인 14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HK이노엔 관계자는 케이캡 글로벌 사업에 대해 "해외 53개국과 기술수출 또는 완제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글로벌 시장 공략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