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섭취로 인한 혈당·혈압 상승 주의
이동 시 자세 교정, 무리한 가사 삼가기
응급상황 대처할 의료기관도 알아둬야
![만성질환자는 추석 연휴에도 식단 및 체력 관리 등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510/75615_84225_492.jpg)
만성질환 환자라면 경계해야 할 추석 연휴다. 기름지고 짠 음식, 장거리 운동, 지나친 가사 등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더욱이 긴 휴일 동안 다수의 병·의원이 문을 닫아 증상 악화 시 신속한 대처도 어렵다. 연휴 기간 철저한 준비와 관리, 응급 대처법 숙지 등을 지켜야 건강한 명절을 보낼 수 있다.
추석 상차림에는 송편, 전, 잡채, 한과, 식혜 등 고열량·고지방·고나트륨 음식들이 가득하다. 특히 송편 3개(90g)에 포함된 탄수화물은 약 35g으로, 공깃밥 반 공기에 해당한다. 여기에 다른 음식까지 곁들이면 평소보다 두세 배 많은 열량과 당을 섭취하게 된다. 혈당·혈압 상승을 초래해 만성질환자에게는 더욱 위험하다.
당뇨병 환자라면 고탄수화물 식품을 피해야 한다. 송편은 하루 1~2개로 섭취를 제한하고, 잡채는 당면 대신 채소 위주로, 음료는 식혜·수정과 대신 물이나 보리차로 대신한다. 과일은 하루에 사과나 배 3분의 1쪽, 포도 10알 정도로 소량만 먹는 게 좋다.
고혈압 환자는 찌개·국·젓갈처럼 염분이 많은 음식을 피한다. 전은 간장 양념 대신 채소를 곁들여 먹는 것이 좋다. 신장병 환자는 곶감, 바나나, 토란국 등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고칼륨 음식은 피해야 한다.
열량을 줄이려면 먹는 순서를 바꾸는 것이 효과적이다. 밥부터 먹지 말고 채소·나물(섬유질)을 먼저 먹고, 두부·살코기(단백질), 밥(탄수화물)순으로 음식을 섭취한다. 식이섬유를 장으로 먼저 보내면 혈당 및 인슐린 분비가 안정화되고, 탄수화물 섭취는 자연스레 줄어든다. 채소·나물을 먼저 먹으면 위에서 음식이 천천히 흡수돼 나트륨 흡수가 지연된다. 음식을 담을 땐 소형 접시를 사용해 섭취량을 줄인다.
![만성 질환자의 경우 대표적인 추석 음식 중 송편은 하루 1~2개 먹는 것이 좋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510/75615_84231_213.jpg)
척추·관절 환자는 장거리 이동과 가사 노동이 위험 요소다. 자세 교정과 체력 분산을 통해 몸에 가는 무리를 최소화해야 한다. 자동차 이동 시에는 작은 쿠션을 허리에 대어 척추의 만곡을 유지하고, 1~2시간마다 정차해 5분간 스트레칭하거나 가볍게 움직이는 것이 좋다.
명절 음식 준비 시에는 바닥에 쪼그려 앉는 자세를 피하고, 식탁이나 싱크대를 이용해 서거나 높은 의자에 앉아 조리하도록 한다. 프라이팬을 들거나 설거지를 할 때 반복적인 동작이 많으므로 손목 관절 통증이 있다면 미리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김태섭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명절 기간 동안 환자들이 가장 많이 놓치는 부분이 맨바닥에 앉거나 쪼그려 앉고, 같은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것"이라며 "관절염이나 요통 환자들은 일시적인 가사 노동이나 장시간 이동 후 생긴 통증으로 병원을 많이 찾게 된다"고 말했다.
심혈관질환이나 호흡기질환 환자는 긴 연휴 동안 응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심근경색, 협심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는 갑작스러운 가슴통증이나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환자들은 평소 복용하는 약물 목록과 주치의 연락처, 기저질환명을 적어 지갑에 넣어 두는 것이 좋다. 갑작스러운 흉통이나 어지럼증, 호흡곤란이 발생하면 곧바로 119에 신고한다.
김 원장은 "신장투석 환자는 투석 일정이 생명과 직결된다"며 "하루라도 밀리면 체내 전해질 불균형, 부종, 신부전이 악화될 수 있다"강조했다. 이어 "귀성길에 오르기 전 의료진과 상의하여 투석 일정을 조정하고, 이동할 지역 근처에 투석 가능한 병원을 사전에 확인해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장기 연휴에는 의료기관 운영이 축소되므로 응급 의료망 확인도 필수다. 보건복지부 콜센터(129), 각 시·도 콜센터(120), 구급상황관리센터(119)를 통해 연휴 중 진료하는 병원·약국을 확인할 수 있다. 응급의료포털에서도 병원 위치와 연락처를 조회할 수 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 [매일건강뉴스] "계피·식초·레몬 뿌렸더니… 혈당이 달라졌다?!"
- 긴~ 추석 연휴, 드라마 정주행 전 꼭 알아야 할 '목·허리 건강 수칙'
- 쉬어도 피곤한 당신, 사실은 명절 증후군 아닌 '이것?'
- 순식간에 지나간 연휴, '건강한' 일상 복귀 위해서는?
- 냉장고 재료로 뚝딱…설 명절, 간편 '건강' 레시피
- 연휴 막바지, '소화기질환' 방심하면 안돼
- "귀가 잘 안 들려"…부모님의 건강 이상 신호, 흘려듣지 말고 체크하세요
- 명절 음식 준비 때문? 갑자기 부어오른 손가락 '이 질환' 의심해야
- '명절증후군' 10대도 겪는다..."목 통증 주의"
- 과음 후 흉통, 혹시 연휴심장증후군?
- '고열량ㆍ고지방ㆍ고나트륨' 설 명절 음식…만성질환자 과식하면 안돼요
- "명절이니까 괜찮다고?"…비음주자, 술 가볍게 마셔도 위암 발생 위험!
- 힘찬병원 "비만 환자, 체중 관리로 관절염 악순환 끊어야"
- 힘찬병원, '테니스' 건강 캠페인 영상 시청 이벤트
- 힘찬병원 "PRP 주사, 혈소판 활성화 장치 사용군서 통증·기능 개선 뚜렷"
- 힘찬병원, 부산가톨릭대와 '인공슬관절 감염·항생제 내성균 신속 검출' 분자진단키트 개발
- 더 밝아진 목동힘찬병원, 재단장 기념 이벤트도
- 힘찬병원, 큰 일교차에 '척추분리증' 주의 당부
- 힘찬병원 "90세 이상 로봇 인공관절 수술 만족도 높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