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소화불량·역류성 식도염·위장관염 등 흔해
과식·야식 자제하고 음식 위생 관리 철저히 해야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설 연휴의 마지막 날. 풍성하게 준비한 명절 음식은 아직 남아있을 것이다. 남은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선 올바른 식습관을 실천해야 함을 끝까지 유의하자.  

명절에 흔히 나타나는 소화기질환은 소화불량, 역류성 식도염, 위장관염 등이다. 그 중 과식과 기름진 음식 섭취로 발생하는 소화불량이 가장 잦다. 복부 팽만감, 상복부 통증, 식후 포만감 등이 주요 증상이다. 

역류성 식도염은 야식 섭취 등으로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 발생한다. 속 쓰림, 가슴 통증, 신물 역류 등 증상이 생긴다. 식사 후 바로 눕는 습관은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위장관염은 잘못 보관된 음식을 먹어 생긴다. 특히 명절에는 음식을 대량으로 조리하므로 발생하기 쉽다.  

명절 소화기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사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영희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명절 음식은 풍성하고 다양해 과식하기 쉽다"며 "식사할 때는 먹을 만큼만 개인 접시에 담는 습관이 필요하고 기름진 음식을 섭취할 때는 신선한 채소와 함께 먹어 소화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식사 후 바로 눕는 습관은 위산 역류와 복부 불편감을 유발해 피해야 한다. 가벼운 산책이나 일상 활동은 소화 촉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식후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소화를 방해한다. 또 밤늦게 간식 섭취는 자제하고 물이나 따뜻한 차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

음식 위생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음식은 적정 온도에서 보관하고 섭취 전 충분히 가열한다. 조리 도구와 손을 깨끗이 씻는 등 기본적인 위생 수칙도 지켜야 한다.

최 교수는 "설 명절은 가족과 함께 따뜻한 시간을 보내는 소중한 기회지만 소화기 건강을 돌보지 않으면 즐거운 시간이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적정량의 음식 섭취, 규칙적인 식사와 위생 관리, 간단한 운동을 통해 건강한 명절을 보내고 새해를 활기차게 맞이하자"고 당부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