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찬병원이 큰 일교차에 '척추분리증'을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힘찬병원이 큰 일교차에 '척추분리증'을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가을이 되면서 허리가 끊어지는 듯한 통증이 있다면 척추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척추 주변 근육이 경직돼 기존 질환이 쉽게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척추분리증'이다. 힘찬병원은 척추분리증이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척추에는 척추체와 척추후궁을 단단하게 이어주는 연결 고리가 있다. 이것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는 질환이 척추분리증이다. 선천적인 골 형성 이상, 무리한 운동이나 과도한 허리 사용으로 인한 반복적인 스트레스 골절, 허리 외상, 퇴행성 변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척추분리증 환자의 상당수는 오랜 기간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요통으로 착각해 지내는 경우가 많다. 척추뼈의 연결고리가 분리돼도 근육과 인대가 어느 정도 척추를 받쳐주기 때문이다. 그러다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 변화로 척추가 불안정해지고 통증이 나타난다. 허리를 펴거나 뒤로 젖힐 때, 오래 서 있을 때 통증이 심하다. 

연결고리가 끊어지면 척추가 더 많이 흔들리고 움직이면서 끊어진 척추뼈가 앞으로 미끄러지는 전방전위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척추뼈가 미끄러져도 인대와 근육이 튼튼한 사람은 조금 밖에 밀리지 않지만 반대의 경우 많이 미끄러지고, 미끄러진 정도가 심하면 심할수록 통증도 커진다. 척추분리증이 있을 때 적절한 운동으로 허리 근육을 단련해야 전방전위증으로 이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척추분리증 치료는 증상의 정도와 척추의 안정성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의 경우 통증 조절과 기능 회복을 목표로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의 비수술적 보존치료를 우선 시행한다. 척추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복부와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요법을 병행하기도 한다.

이동찬 힘찬병원 신경외과 센터장은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척추가 앞으로 미끄러지는 전방전위증이 동반된 경우, 또는 신경 압박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척추유합술과 같이 척추를 고정하는 수술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평소 척추분리증 환자는 무리한 동작과 허리에 충격이 가는 운동, 과체중 등을 피해야 한다. 특히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 축구처럼 허리를 비트는 동작이 많은 운동은 증상을 악화시킨다. 운동 시에는 복부,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스트레칭과 가벼운 운동이 도움이 된다. 일상에서는 오래 앉아 있는 자세를 피하고, 허리를 곧게 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허리를 숙이지 않고 무릎을 굽히도록 한다.

이 센터장은 "척추분리증은 척추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관리의 핵심"이라며 "척추분리증이라는 병명에 너무 겁먹을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가볍게 여기고 관리에 소홀할 경우 척추불안정증, 전방전위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전문의 진료 후 허리 근육의 힘을 길러야 한다"고 당부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