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캔서치(ai-CANCERCH)' 임상 연구 결과 발표 현장. [사진=GC지놈]
'아이캔서치(ai-CANCERCH)' 임상 연구 결과 발표 현장. [사진=GC지놈]

GC지놈은 자사의 다중암 조기진단 검사 '아이캔서치(ai-CANCERCH)'의 조기 췌장암 예측 성능을 입증한 임상 연구 결과가 아시아종양학회(Asian Oncology Society 2025)에서 발표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아이캔서치'의 핵심기술인 FEMS(Fragment End Motif frequency by Size)기반으로, 혈액 내 세포유리 DNA(cfDNA) 구조적 특성과 췌장암 혈액 바이오마커 'CA19-9'를 함께 분석한 멀티모달 스태킹 모델을 통해 조기 단계 췌장암을 효과적으로 예측한 성과를 다뤘다.

연구에 따르면 조기 췌장암 환자군에서 최대 87%의 민감도를 보였다. 전체 환자군 기준으로는 민감도 90% 이상, 특이도 98% 이상의 예측력을 나타냈다. 

연구를 맡은 공선영 국립암센터 교수는 "췌장암은 증상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이 매우 어렵다"며, "이번 연구는 혈액 내 cfDNA를 정밀 분석함으로써 기존 혈액 검사 방법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FEMS 기술은 혈액 내 cfDNA 조각의 단편 크기와 끝부분 염기서열 패턴이라는 두 가지 정보를 통합 분석한다. 극미량의 암 신호까지 탐지할 수 있는 GC지놈의 핵심 기술이다. AI 기반의 정교한 분석이 가능해 기존 방식으로는 감지 어려운 극초기 암세포 유래 cfDNA 신호까지 포착할 수 있다. 

GC지놈 관계자는 "향후 췌장암 외에도 다양한 암종에 대한 조기진단 확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것"이라며, "정밀의료 분야에서 기술 신뢰도와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이사(오른쪽에서 세 번째)와 이재준 큐렉소 대표이사(왼쪽에서 네 번째)를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통합 척추 수술 솔루션 개발을 위한 기술 협력 MOU 체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시지바이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이사(오른쪽에서 세 번째)와 이재준 큐렉소 대표이사(왼쪽에서 네 번째)를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통합 척추 수술 솔루션 개발을 위한 기술 협력 MOU 체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시지바이오]

시지바이오는 의료로봇 전문기업 큐렉소와 손잡고 척추 수술용 로봇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공동 개발에 착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양사는 최근 큐렉소 본사에서 '통합 척추 수술 솔루션 개발 및 확산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수술용 로봇, 척추 임플란트, 내시경 기반 수술 기법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하는 정밀 수술 시스템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시지바이오가 지속 추진해온 '최소침습 척추 수술 전략'을 한층 확장하는 차원이다. 기존 절개 중심의 척추 수술은 출혈과 감염 위험이 크고 회복 기간이 길다는 한계가 있었다. 

절개 범위를 줄이고 정밀하게 접근하는 최소침습 척추 수술은 환자의 회복 속도를 크게 앞당기고, 입원 기간 단축 및 수술 후 합병증 위험 감소 등의 장점이 있다.

시지바이오는 최소침습 척추 수술 관련 기술을 꾸준히 개발해 왔다. 이번 큐렉소와의 협력은 정밀도와 자동화를 더한 로봇 수술 플랫폼으로 그 전략을 확장해 나가기 위한 시도다. 

이번 개발 협력의 중심 기술인 '큐비스 스파인(CUVIS-spine)'은 큐렉소가 자체 개발한 척추 수술용 로봇이다. 실시간 영상 기반의 수술 내비게이션을 통해 척추 나사 삽입 경로를 정확하게 가이드한다. 

양사는 향후 큐비스 스파인을 기반으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까지 확장할 방침이다. 시지바이오의 임플란트 정보와 수술기구 데이터를 통합해 로봇 수술-내비게이션-임플란트가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정밀 수술 시스템을 구현한다는 목표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는 "이번 협력은 디스크 치료, 골재생, 임플란트에 이어 로봇 기반 수술까지 아우르는 최소침습 전략을 실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자사의 기술력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국의 우수한 수술 기술이 글로벌 스탠다드가 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