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비만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대한비만학회 비만병 팩트시트에 따르면 국내 만 19세 이상 비만 유병률은 2013년 30.6%에서 2022년 38.4%로 늘었다. 성인 복부비만도 2013년 20%에서 2022년 기준 24.5%까지 증가했다. 비만 치료에 대한 중요성도 커지면서 약물에 대한 관심도 늘어난 상황. 전문가들은 다양한 약물 중 환자에게 맞는 것을 택해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비만은 체지방량이 지나치게 많아 신체 기능이 저하되는 만성·전신적 질병 상태이다. 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일차적인 비만도를 적용한다. 여기에 허리둘레를 재서 복부비만을 평가하거나 덱사(DEXA)나 인바디(InBody) 같은 체성분 분석 기계를 통해 비만 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한국인의 비만 기준은 체질량지수 25㎏/m² 이상이다. 허리둘레는 남자는 90㎝, 여자는 85㎝ 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정의한다. 최근에는 비만으로 장기 기능 이상이 동반되거나 기본 활동이 제한되는 경우를 임상적 비만병으로 구분한다.

비만을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이유는 비만이 대사증후군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됐기 때문.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을 비롯해 혈압상승, 고혈당, 이상지질혈증 등 여러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위험인자가 함께 나타난 상태다. 대사증후군은 여러 대사질환과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뿐 아니라 사망 위험을 높인다. 

비만 치료는 식사 조절과 운동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최근엔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도 적용되고 있다. 위고비는 경구약제와 주사제로 나뉜다. 경구약제는 지방을 변으로 배출시키는 '제니칼', 중추 신경계에 작용해서 식욕을 억제하는 '콘트라브'와 '큐시미아'가 있다.

주사제로는 매일 맞는 주사제인 '삭센다', 일주일에 한 번 맞는 주사제 '위고비'가 있다. 주사제는 위 운동을 느리게 하고 소화물이 천천히 내려가게 만들어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른 효과를 보이며 식욕도 억제한다. 다만 위 운동 속도가 느려지면 장 운동 역시 느려져 변비 등 부작이 생길 수 있다.

전지은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환자마다 비만 약제에 대한 반응이나 부작용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해 결정해야 한다"며 "비만 약제와 더불어 다이어트 보조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는데, 보조제는 소비자가 성분이나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알기 어렵고 연구를 통해 효과가 입증된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만 치료 목표는 단순히 미적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동반 질환을 호전해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라며 "계단 오르기처럼 일상에서 즉시 실천할 수 있는 운동부터 시작하고 조금씩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습관을 가지면 치료에 도움 된다"고 덧붙였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