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으로 인한 사망률, 10년 새 2배 이상 증가
폐렴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폐렴구균 예방접종'

통계청이 발표한 '2024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폐렴은 암과 심장질환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 '3위'에 랭크됐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통계청이 발표한 '2024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폐렴은 암과 심장질환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 '3위'에 랭크됐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독감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고령층을 중심으로 폐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폐렴은 암과 심장질환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 '3위'에 랭크됐다.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59.0명으로 1년 새 2.5%나 늘었고, 2013년(21.4명) 대비 10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보건의료빅데이터에 따르면, 폐렴 환자 수는 2021년 51만 3065명에서 2024년 188만4821명으로 267% 증가했으며, 특히 고령 인구의 증가와 함께 발병 속도도 점차 빨라지고 있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미생물에 감염되어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초기 증상은 기침·가래·근육통이다. 초기에는 감기·독감 등 급성 호흡기 질환과 증상이 유사해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38도 이상의 고열이 반복되거나, 화농성(누런) 가래, 가슴통증, 호흡곤란 등 폐렴의 특징적 증상이 나타날 때는 곧바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폐렴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폐렴구균 예방접종으로 폐렴은 물론, 패혈증, 뇌수막염 등 주요 합병증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폐렴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폐렴구균 예방접종으로 폐렴은 물론, 패혈증, 뇌수막염 등 주요 합병증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곽원건 경희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폐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것으로 폐렴으로 인해 염증성 물질이 쌓이게 되면 산소 교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돼 호흡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고령이나 만성질환자는 폐기능과 면역력 저하로 폐렴의 진행속도가 매우 빠르다"고 말했다.

폐렴이 의심된다면 폐렴의 유무 및 질환의 중증도를 확인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흉부 엑스레이나 CT 촬영을 통해 폐렴의 범위를 확인하고, 혈청 검사나 객담 검사로 원인균을 확인한다.

세균성 폐렴은 원인균에 맞는 항생제를 사용하고, 바이러스성 폐렴은 항바이러스제 치료나 동반된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를 시행한다. 반복적인 폐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발생요인에 대한 전문적 검진이 필요하다.

곽원건 교수는 "폐렴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폐렴구균 예방접종으로 폐렴은 물론, 패혈증, 뇌수막염 등 주요 합병증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며 "다만, 독감 인플루엔자는 매년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달라지므로 1년마다 접종하는 것이 좋고, 일상에서도 손씻기를 생활화하고 충분한 영양 섭취로 면역력을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