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로고. [사진=에이비엘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로고. [사진=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4-1BB 단일항체 및 이의 용도에 대한 국내 특허 결정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특허는 2019년 12월 국제 출원된 것으로, 2039년까지 그 권리가 보장될 예정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4-1BB 단일항체 특허를 미국, 중국, 일본, 호주에서 등록 완료한 바 있으며 유럽 특허는 심사가 진행 중이다.

4-1BB는 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세포 중 하나인 T 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4-1BB 단일항체는 4-1BB 항원과 결합, 4-1BB를 통해 T 세포를 활성화함으로써 T 세포가 암 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그간 제기된 4-1BB 단일항체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이중항체 구조로 '그랩바디-T(Grabody-T)'를 개발했다. 이중항체의 경우, 클라우딘18.2(Claudin18.2) 및 HER2 등의 암 항원과 결합한 뒤 암 세포가 발현된 종양 미세환경에서만 4-1BB를 통해 T 세포가 활성화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현재 임상 단계에 있는 그랩바디-T 기반 이중항체로는 ABL111(지바스토믹, Givastomig), ABL503(라지스토믹, Ragistomig), ABL103, ABL104(YH32364), ABL105(YH32367) 등이다.

ABL111은 미국에서 니볼루맙(Nivolumab)및 화학치료제와 삼중 병용하는 임상 1b상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7월 용량 증량(Dose Escalation) 파트의 고무적 데이터를 발표한 바 있다. 내년 1분기에 임상 1b상 용량 확장(Dose Expansion) 파트의 탑라인(Top-line)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ABL103은 미국, 한국, 호주에서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및 탁센(Taxane) 삼중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1b/2상을, ABL503은 미국과 한국에서 단독요법에 대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4-1BB 기반 이중항체들의 글로벌 임상이 원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 치료제와의 병용을 통해 항암 효능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도록 임상 전략을 세워 4-1BB 이중항체를 개발 중이다. 기술이전 사업화의 필수 요소인 해외 특허 확보도 적극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BL111이 임상 1b상 용량 증량 파트에서 고무적인 데이터를 보인 만큼, 그랩바디-T 플랫폼 전반의 가치도 동반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왼쪽부터)엔바이오스 김태주이사, 이대희대표, 신테카바이오 정종선대표, 송재영이사가 25일 대전 ABS센터에서 제휴 협약식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신테카바이오]
(왼쪽부터)엔바이오스 김태주이사, 이대희대표, 신테카바이오 정종선대표, 송재영이사가 25일 대전 ABS센터에서 제휴 협약식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신테카바이오]

AI 기반 신약개발 기업 신테카바이오는 엔바이오스와 딥매처(DeepMatcher) 서비스 계약 및 업무 제휴 협약식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엔바이오스는 천연물소재를 기반으로 무독성 항암제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에 주력해온 바이오 기업이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신테카바이오의 AI 플랫폼 역량과 엔바이오스의 신약개발 노하우를 결합해 암 질환 치료제 타깃 후보물질의 약물 최적화를 통한 신규 화합물 발굴에 나선다.

신테카바이오가 수행하는 용역은 단백질과 화합물 간 결합에서 핵심 잔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테카바이오의 딥매처 플랫폼을 활용해 유도체 디자인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후 효능검증을 통해 화합물 구조를 최적화하고, 최소 1종 이상의 신규 화합물 발굴을 목표로 한다.

신테카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단순한 연구용역을 넘어 양사의 성과를 지적재산권확보 및 기술사업화로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공동 신약개발과 기술이전 등 장기적인 성과 창출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왼쪽)와 빌 이노스(Bill Enos) BSI 글로벌 심사 총괄 디렉터가 '노보맥스 퓨전' 유럽 CE MDR 인증서를 기념하며 촬영하고 있다. [사진=시지바이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왼쪽)와 빌 이노스(Bill Enos) BSI 글로벌 심사 총괄 디렉터가 '노보맥스 퓨전' 유럽 CE MDR 인증서를 기념하며 촬영하고 있다. [사진=시지바이오]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CGBIO)는 자체 개발한 척추 임플란트 '노보맥스 퓨전(NOVOMAX FUSION)'이 유럽연합(EU) 의료기기 규정 'CE MDR' 인증을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유럽연합이 지정한 공식 글로벌 인증기관인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심사를 통해 발급됐으며, 시지바이오는 BSI와 인증서 수여식을 진행했다. 

'MDR(Medical Device Regulation)'은 2021년 5월부터 시행된 유럽의 새로운 의료기기 규정이다. 기존 제도인 'MDD(Medical Device Directive)'보다 임상 평가, 안전성과 효과 검증, 품질 관리 기준 등이 크게 강화됐다. 

시지바이오의 '노보맥스 퓨전'은 목뼈 사이 디스크가 손상됐을 때 그 자리에 삽입해 척추를 고정하고 유합을 돕는 경추유합술용 케이지다. 전방에 접근해 척추뼈 C3~T1 구간에 이식되며, 손상된 디스크를 대신해 뼈 사이를 지탱하고 붙여주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는 "노보맥스 퓨전은 자체 개발 생체활성 세라믹 신소재 BGS-7을 적용해 별도 골이식재 없이도 안정적 유합을 유도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국산 척추 임플란트 제품"이라며 "일본에 이어 유럽, 호주 등 선진 시장을 필두로 글로벌 척추 임플란트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