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서 밖으로 나가 좋아하는 운동을 즐기고 싶은 마음이 드는 화창한 봄이다. 하지만 무턱대고 운동을 하다 발목손상을 겪을 수 있으니 주의하자. 특히 발목관절염을 유의해야 한다.
발목관절염은 정강이뼈와 발뼈를 잇는 발목관절에 염증이 생긴 질환이다. 발목 통증, 부기가 나타나고 발목을 움직일 수 있는 운동범위가 제한된다. 전체 인구의 약 1%~3.4%가 발목관절염을 앓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관절염은 노화에 따른 퇴행성이 대부분이다. 반면 발목관절염은 발목 골절이나 인대파열 등 외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약 70%다. 위험 요인 중 가장 흔한 것은 발목 염좌이다. 축구, 농구, 배드민턴 등 스포츠 활동 중에 흔하게 일어난다.
급성 발목염좌는 관절염으로 진행되기 쉽다. 염좌를 치료한 이후에도 '만성적 발목 불안정성'으로 발목이 자주 삐어 발목관절염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손상된 인대가 정상적으로 치유되지 못하고 느슨해진 상태를 발목 불안정성이라 한다.
발목관절염은 초기 관절염에서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다. 소염진통제를 통한 약물치료와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 등으로 통증을 조절한다. 말기 발목관절염에는 수술을 적용하기도 한다. 관절 유합술과 관절 전치환술이 대표적이다.
경민규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수술 방법 개선 및 발목관절 가동범위의 보존 등 장점이 있는 전치환술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다만 둘 중 환자 상태에 맞는 최적의 수술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발목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먼저 정상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과체중은 발목관절에 하중을 증가시켜 연골 손상과 관절염을 악화한다. 운동 스트레칭으로 근육 및 인대의 유연성을 유지, 부상을 예방한다.
또 달리기, 점프 등 반복적으로 충격을 주는 운동보다는 평지에서 걷기, 자전거, 수영과 같은 저충격 운동이 좋다. 강 교수는 "발과 발목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쿠션이 좋고 편안하면서도 안정성이 뛰어난 신발을 선택해야 하고, 필요하다면 발목 보조기를 사용해 충격과 비틀림을 방지하라"고 조언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 "봄나들이 가야지~" 설레던 엄마 발목 잡는 관절염
- [전문의 기고] 발목 인대 손상, 꼭 수술해야 할까?
- 증가하는 무릎관절염…새로운 'PRP' 치료법 관심 쑥
- 무릎관절, 젊어도 '안 괜찮아'…방심은 금물
- 주말부터 봄 기운…야외활동 전 '무릎 통증' 주의해야
- 러닝, 달릴 수록 허리가 아픈 이유는?
- 핫파스 vs 쿨파스, 용도가 다르다
- "기분 좋아야 할 봄인데…" 무기력·우울감, '봄 우울증'일 수도
- 김호철 경희한의대 교수, 베트남 전통의약대학 학회서 건기식 연구성과 발표
- 전동 킥보드 사고 5년 새 10배 증가…'골절' 주의보
- 덥다고 샌들 신다 '발 건강' 해칠라
- MLB 코리안리거 잇단 부상…한의학에선 치료 어떻게?
- 스포츠의 계절 여름, '족관절 염좌' 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