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이대목동·한림대 연구팀, 51만명 분석
임종 3개월 전부터 급격히 증가
![말기 환자에게는 감염이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예방적' 혹은 '관행적'으로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510/75927_84962_1750.jpg)
암이 끝을 향할수록 환자는 감염보다 항생제와 싸우고 있었다. 서울대병원·이대목동병원·한림대 공동연구팀이 진행암 환자 51만여 명의 임종 전 6개월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55.9%)이 광범위항생제를 사용했으며, 특히 임종 3개월 전부터 처방이 급격히 늘어 2주~1개월 사이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광범위항생제는 여러 세균을 동시에 억제하는 강력한 약제로 감염이 심하거나 내성균이 의심될 때 투여되지만, 말기 환자에게는 감염이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예방적' 혹은 '관행적'으로 처방되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임종 전 6개월을 다섯 구간(임종 1주, 1~2주, 2주~1개월, 1~3개월, 3~6개월)으로 나누고 페니실린계, 세팔로스포린계, 카바페넴계, 글리코펩타이드계 등 주요 광범위항생제 4종의 사용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사용률은 임종 1~3개월 구간에서, 사용량은 임종 1개월~2주 구간에서 가장 높았다.
혈액암 환자(백혈병·림프종·다발성골수종)는 고형암 환자(폐암·간암·대장암 등)에 비해 항생제 사용률이 1.5배, 사용량이 1.2배 높았다. 임종이 가까워질수록 입원 빈도가 늘고 신체 기능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실제 감염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채 항생제가 '안전망'처럼 반복 처방되는 양상이다.
유신혜 서울대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진행암 환자의 생애말기 항생제 사용 실태를 체계적으로 규명한 결과로, 향후 항생제 사용 지침과 완화의료 정책의 근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정한 이대목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생애말기 환자라도 실질적 이익이 있다면 항생제를 써야 하지만, 근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일단 써보자'는 식의 처방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존엄한 죽음을 방해할 수 있기에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환자 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Network Open(IF 13.8) 최근호에 게재됐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 의료기술 사업화 박차…서울대병원, 산학 협력 강화
- 서울대병원, 영유아 수술 후 '요골동맥 폐색' 예방법 세계 첫 규명
- "절반이 새 진단 받았다"…소아 악성 뇌종양, WHO 기준 재분류로 판도 바뀌다
- 신창호 서울대병원 교수,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본상' 수상
- 항암 후 회복·면역 관리법 공유… '2025 셀메드 앎멘토링학교' 성료
- '2025 셀메드 앎멘토링학교' 개최… 전국 첫 순회강연 막올라
- 암 환우 위한 '앎멘토링 학교 시즌2', 전남대서 첫 순회강연
- [스타★건강] 손톱도 회복엔 시간이 필요하다…아이비의 '조갑박리증' 회복기
- 한림대의료원 'We路스토리' 공모전,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쓴 희망의 기록
- 국내 환자단체 902개, 암 관련 165개로 가장 많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