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측으로 넘기세요
주름을 개선이나 턱 근육을 축소하는 등 근육을 약화할 때 보툴리눔 톡신을 맞는다. 그런데 미용상 측면 뿐만 아니라 통증에도 보툴리눔 톡신이 효과가 있다는 데 정말일까?
신혜원 중앙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는 "보툴리눔 톡신이 원래는 미용 목적이 아니라 사시, 근긴장이상증 등 질병의 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제"라고 말했다.
보툴리눔 톡신은 신경과 근육 사이에서 신경전달물질을 차단해 근육의 수축을 억제하며 근육의 마비를 일으킨다. 이 원리를 토대로 다양한 질병과 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보툴리눔 톡신은 신경과 근육의 접합부뿐만 아니라 신경의 말단에 작용하거나 신경 말단에서 중추신경계로 신호를 전달하면서 감각신경계에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를 이용해 다양한 통증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렇다면 보툴리눔 톡신을 미용 관련 병원에서 맞는 것과 통증 관련 병원에서 맞는 것의 차이는 무엇일까. 신 교수는 "두 가지 모두 약제의 성분은 동일"하다며 "주사 위치나 용량, 방법 등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병원의 차이라기 보다는 시술 방법의 차이라고 보는 게 맞다는 것.
만성 편두통이라면 보툴리눔 톡신을 이마, 관자놀이, 뒷목 근육, 어깨 근육 등에 주사하면 증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신 교수는 "같은 원리로 긴장성 두통, 근막통증증후군 등 다른 두통에도 보툴리눔 톡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많은 연구들이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승모근을 줄이기 위해 보툴리눔 톡신 주사를 사용할 때도 승모근과 목 근육 통증이 함께 완화할 수 있다. 턱관절 통증의 경우 구조적, 기능적 이상이 없는 턱관절 통증이라면 보툴리눔 톡신의 사용이 통증 경감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턱관절 자체 질환에 대한 감별 진단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만성 통증은 원인을 막론하고 일상에서의 삶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이다. 신 교수는 "감각 신경은 중추신경계와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나 수면 장애, 긴장도 등이 통증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며 "통증의 근본 원인과 관계없이 단시간에 한가지 치료로 통증을 없애는 것은 어렵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만성 통증이 발생하면 통증의 경감을 위한 치료와 함께, 통증을 유연한 자세로 받아들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