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구로병원 연구팀, 65세 이상 심근경색환자 복용 약제에 따른 예후 분석
고령환자 약제선택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연구결과 SCI급 국제학술지 게재

심근경색 이후 약제 선택에 따라 향후 뇌졸중, 심부전 발생 위험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심근경색 이후 약제 선택에 따라 향후 뇌졸중, 심부전 발생 위험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심근경색을 경험한 고령 환자는 복용하는 약제에 따라 향후 뇌졸중, 심부전 발생 위험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페린도프릴, 캡토프릴, 에날라프릴 등 성분명에 '~프릴'이 붙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억제제)를 복용한 그룹이 발사르탄, 텔미사르탄, 로사르탄, 올메사르탄 등 '~탄'이 붙은 성분의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를 복용한 그룹보다 뇌졸중과 심부전 발생 위험이 각각 62.5%, 47.2%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나승운 교수, 고려대 심장혈관연구소 최병걸 교수 연구팀은 2011~2015년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예후 및 관리 지표 개발을 위한 전향적 추적 관찰 연구(KAMIR-NIH)'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환자 중, 고혈압을 진단받지 않은 65세 이상 심근경색 환자 1380명을 복용 약제에 따라 두 그룹(ACE 억제제 872명, ARB 508명)으로 나눠 3년간 추적 관찰했다. 

심근경색 후 복용하는 약물에 따른 뇌졸중(사진 왼쪽)과 심부전 발생 위험을 비교한 그래프. ]고려대 구로병원]
심근경색 후 복용하는 약물에 따른 뇌졸중(사진 왼쪽)과 심부전 발생 위험을 비교한 그래프. ]고려대 구로병원]

이를 토대로 두 그룹의 예후를 환자 수 등을 고려해 역확률가중치(inverse probability weighting, IPTW)로 비교 분석한 결과, 뇌졸중과 심부전 발생 환자가 ACE 억제제를 복용한 그룹에서는 각각 1.2%, 2.6%이었던 반면, ARB를 복용한 그룹에서는 각각 2.9%, 4.5%로 나타났다. 두 그룹 사이의 혈압강하 및 혈압조절 효과는 별 차이가 없었다.

심근경색을 앓았던 환자는 심장 근육을 재형성하고 심장 기능을 보존하기 위해 이번 연구에서 분석한 ACE 억제제와 ARB를 일차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최병걸 연구교수는 "심근경색증, 고혈압 치료에서 모두 사용되는 두 약제는 환자 개인별 특성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다"며 "적응증을 세분화해 효과를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나승운 교수, 최병걸 교수, 안우진 학생(사진 왼쪽부터). [고려대의료원]
나승운 교수, 최병걸 교수, 안우진 학생(사진 왼쪽부터). [고려대의료원]

이번 연구의 1저자인 안우진 고려대 의과대학생은 “이번 연구는 고령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사용의 잠재적 이득을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라며 "앞으로 임상현장에서 적절한 약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나승운 교수는 "심근경색 이후의 적절한 약제 선택은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가파르게 증가하는 고령인구를 고려할 때 이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도 더 활발히 진행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SCI급 국제학술지인 ‘Heart and Vessels’ 최신호에 게재됐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