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D 2025, 제형·플랫폼 혁신과 상용화 전략 등 논의

오는 10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PODD 2025는 약물전달 기술 혁신과 상용화 전략을 논의한다. 이는 한국 기업의 글로벌 협력과 미국 시장 진출 기회로 이어질 전망이다. 사진은 PODD 2024 모습. [사진=PODD 홈페이지]
오는 10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PODD 2025는 약물전달 기술 혁신과 상용화 전략을 논의한다. 이는 한국 기업의 글로벌 협력과 미국 시장 진출 기회로 이어질 전망이다. 사진은 PODD 2024 모습. [사진=PODD 홈페이지]

전 세계 제약·바이오 업계가 신약 효능과 환자 편의성을 좌우하는 '약물전달 기술(Drug Delivery Technology)'의 혁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올가을 미국 보스턴에 모인다.

미국 전문 콘퍼런스 기획사 TCF(The Conference Forum)는 오는 10월 27~28일 제15회 '파트너십 오퍼튜니티 인 드러그 딜리버리(PODD 2025)'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암젠,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등 글로벌 제약사와 로버트 랭거 MIT 교수, 조지 얀코폴로스 리제네론 박사 등 세계적 석학이 대거 참여해 ▲혁신 파트너십 ▲제약사 내부 혁신 ▲첨단치료제 전달 ▲경제적 고려사항 등 폭넓은 의제를 논의한다.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유전자·세포치료제 등 다양한 모달리티(Modality)에 맞춘 제형 설계와 약물전달 플랫폼의 최신 연구 결과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또 상용화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생산·유통 문제, 환자 중심 설계(Patient-Centric Design) 접근법, 규제기관과의 조기 협의 전략 등 실무적 논의도 포함한다. 

전문가들은 특히 경구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 향상 기술, 지속 방출(Controlled Release) 시스템, 맞춤형 복합 제형이 주요 화두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약물전달 기술은 단순한 투여 경로 개선을 넘어, 치료제의 안전성과 효능을 극대화하고 환자 순응도를 높이는 핵심 분야다. 예를 들어 기존 주사제를 경구용으로 바꾸거나, 표적 조직에만 약물을 방출하는 스마트 나노입자 기술은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효율을 높인다. 미국·유럽 주요 제약사들이 약물전달 플랫폼을 M&A나 라이선스 계약의 핵심 대상으로 삼는 이유다.

한국 기업에 이번 콘퍼런스가 중요한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 글로벌 빅파마와의 공동 개발·기술이전 협력 기회다. 한국은 약물전달 소재·제형 연구에서 이미 다수의 특허와 임상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mRNA·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의 전달 시스템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해외 협력이나 기술이전 가능성도 모색하고 있다. 둘째, 미국 시장 진출 발판 마련이다. 미국 FDA 허가 전략, 보험 등재, 상용화 과정에서 약물전달 기술이 경쟁력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국내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바이오의약품일수록 약물전달 시스템 차별화가 제품 성공을 좌우한다"며 "PODD 같은 글로벌 네트워킹 무대에서 초기 단계부터 해외 파트너와 협력하는 것이 장기적 시장 확장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최근 글로벌 규제 환경 변화와 맞물려, 지속형 제형·맞춤형 약물전달 장치 수요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EU는 환자 안전성·편의성 기준을 강화하면서도 의료비 절감에 기여하는 기술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는 약물 투여 횟수를 줄이거나 재택 자가투여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을 장려하는 흐름과 맞닿아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보스턴 C&D 인큐베이션 오피스 지원을 받은 국내 스타트업들은 미국 케임브리지 이노베이션 센터 등 바이오클러스터에 거점을 두고 현지 파트너와 연구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일부 기업은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기술 홍보와 투자 유치 활동을 병행하며, 대형 제약사 역시 PODD를 비롯한 주요 행사 참여를 통해 해외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PODD 2025는 단순 기술 전시회가 아니라, 규제·상용화·투자·파트너십이 한 자리에서 교차하는 전략회의"라며 "국내 기업들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글로벌 파이프라인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