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다 쉬어야 하는 '간헐적 파행' 있으면, 척추관협착증 의심해야

야외활동 중 반복되는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이 있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하고 조기 진단을 받는 게 중요하다. [사진=DALL.E]
야외활동 중 반복되는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이 있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하고 조기 진단을 받는 게 중요하다. [사진=DALL.E]

따뜻한 날씨에 산책과 나들이 등 야외활동이 늘면서 허리 통증이나 다리 저림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단순한 피로라고 넘기기 쉽지만, 이러한 증상이 반복된다면 퇴행성 척추질환인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봐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나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척추관협착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약 198만명으로, 2019년(167만명) 대비 18.5%가 증가했다. 특히 고령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이 질환은 노화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해 통증과 보행장애 등을 일으킨다.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흔히 비슷한 증상으로 오해 받지만, 실제로는 발생 원인과 양상이 다르다. 허리디스크는 30~40대에서 많이 발생하며, 디스크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해 급성 통증을 유발한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60대 이상에서 주로 발생하며, 척추 뼈나 인대 등이 두꺼워지면서 척추관이 좁아지고 신경이 만성적으로 눌린다.

척추관협착증에서는 '간헐적 파행'이라는 특징적인 증상이 있는데, 이는 일정 거리 이상 걷다 보면 다리에 통증이나 저림이 생겨 잠시 쉬어야만 다시 걸을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증상이 반복된다면 정밀 검사로 조기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관협착증 치료는 보존적 요법과 수술적 치료로 나뉘며, 최근에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 고령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수술은 0.8cm의 두 절개만으로 병변 부위를 제거하며, 기존 개방 수술보다 출혈과 감염 위험이 적고 회복 속도가 빠르다.

강민석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양방향 내시경 수술은 신경 감압 효과가 높고 주변 조직 손상이 적어, 특히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에게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며 "초기 마약성 진통제 사용도 줄일 수 있어 환자의 회복 부담과 사회적 비용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예방이 가능한데, 평소 허리와 복부 근육을 강화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오래 앉아 있는 직장인은 주기적으로 스트레칭을 해주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무릎을 굽히는 올바른 자세를 취해야 한다. 비만은 척추에 부담을 주므로 체중 관리도 중요하다.

강 교수는 "허리 통증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다리 감각 저하, 보행 시 통증 악화, 배뇨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단순한 피로가 아닌 척추질환일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걷는 거리가 점점 줄고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줄어든다면, 신경압박이 진행 중인 징후일 수 있으므로 병원을 찾아 정밀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노화의 한 과정으로 여겨 방치하기 쉽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로 삶의 질을 회복할 수 있는 질환"이라며 "통증 억제보다 기능 회복을 목표로 맞춤형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