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제약업계에선 시장에 공급 중인 치료제 관련 최신 연구성과와 기존 제품의 제형 추가 관련 움직임 등 소식이 전해진다.
![JW중외제약 헴리브라. [사진 = JW중외제약 제공]](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503/72301_79321_3755.jpg)
JW중외제약은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를 투약한 중증 A형 혈우병 환자들의 삶의 질이 개선됐다는 연구 결과가 '유럽혈우병협회 연례총회(EAHAD 2025)'에서 발표됐다고 이날 밝혔다.
EAHAD는 혈우병과 기타 출혈성 질환 분야에서 최신 연구와 치료법을 공유하는 국제 학술 행사다. 지난달 5일부터 3일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렸다.
이번 연구는 스웨덴 룬드대학교 중개의학과 얀 아스테르마르크(Jan Astermark) 교수 연구팀이 주도했다. 연구팀은 기존에 24주 이상 8인자 제제를 사용해 예방요법을 받아온 중증 A형 혈우병 환자 총 28명(성인 16명, 청소년 12명)을 대상으로, 48주간 헴리브라를 투약한 후 삶의 질과 출혈 변화 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헴리브라 투약 후에도 신체 활동 수준과 관절 건강은 안정적으로 유지됐으며, 출혈 발생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혈우병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를 활용한 조사에서는 일상생활과 사회‧여가 활동 중 출혈에 대한 걱정이나 불편함이 전반적으로 줄었다. 특히 성인은 55.7%, 청소년은 33.4% 수준으로 치료가 편해졌다고 응답했다.
설문조사에서도 참가자의 92%(25명 중 23명)가 기존 8인자 제제보다 헴리브라 치료를 더 선호한다고 답했다. 주요 이유로는 '투여 횟수가 줄어든 점(69.6%)', '삶의 질이 나아진 점(43.5%)', '투여 방식이 편한 점(34.8%)' 등을 꼽았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헴리브라가 기존 8인자 예방요법에 비해 출혈 관리뿐 아니라 치료의 편의성과 환자의 일상 유지 측면에서도 더 나은 효과를 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헴리브라가 단순히 약을 바꾸는 수준이 아니라 환자들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치료 옵션임을 확인한 데 큰 의미가 있다"며 "헴리브라가 A형 혈우병 환자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편리한 치료법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셀트리온 2공장 전경. [사진 = 셀트리온]](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503/72301_79322_3920.jpg)
셀트리온은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 Committee for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로부터 '옴리클로(OMLYCLO, 개발명: CT-P39)' 오토인젝터(Autoinjector∙자동주사제, 이하 AI) 제형 추가에 대한 변경허가 '승인 권고' 의견을 받았다는 소식을 전했다.
옴리클로는 졸레어(XOLAIR, 성분명: 오말리주맙)의 바이오시밀러로, 지난해 5월 유럽에서 최초로 품목허가를 받았다.
이번 승인권고는 당시 허가 받은 75mg/150mg 프리필드시린지(Pre-filled Syringe∙사전충전형주사제, 이하 PFS) 제형에 이어, 75mg/150mg AI 제형을 추가로 승인받기 위한 변경사항이다. 환자들의 자가주사형 투여 옵션 확대 및 치료 편의성 강화가 목적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환자 61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CT-P39의 글로벌 임상 3상을 통해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유효성과 동등성을 입증하고 안전성에서도 유사성을 확인했다.
옴리클로의 오리지널 의약품 졸레어는 알레르기성 천식,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비부비동염 및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등에 사용되는 항체 바이오의약품이다. 지난해 기준 글로벌 매출 약 6조원을 기록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옴리클로 AI 제형은 기존 허가받은 PFS 제형과 함께 환자의 상태와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 투여가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면서 "제형 다양화를 통해 치료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우수한 안정성 및 유효기간 확보를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 [제약소식] 동아제약, 반려동물 건강 유산균 '벳플 락토덴탈' 출시 등
- [제약소식] 유한양행, 여성 건강 위한 '센스밸런스플러스' 출시 등
- [제약소식] 지씨셀, T-세포 림프종 치료제 임상 1상 환자 투여 등
- [제약소식] 동화약품, GS25 베트남 법인과 약국·편의점 결합 컬래버 매장 오픈 등
- [제약소식] 동아제약 파티온, '포도당 하이드로 에센스 토너&크림' 출시 등
- 셀트리온, 500억 자사주 전량 소각 결정... "주주가치 제고"
- 셀트리온, 유플라이마 상호교환성 3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상호교환 지위 확보 기대"
- [제약소식] 대원제약, 짜 먹는 나프록센 진통제 '파인큐나프록센' 출시 등
- [제약소식] 대웅제약, 고대안암병원과 AI 신약 개발위한 업무협약 체결 등
- [제약소식] 에스티팜, CRISPR MEDiCiNE 2025 참가...신규 기술 홍보 등
- "지역 경제 살리자" 셀트리온, 임직원에 6억원 소비쿠폰 지급
- 美서 '유플라이마' 접근성 높인 셀트리온, 휴미라와 상호교환 변경 허가 획득
- C&C신약연구소, AACR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비임상 결과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