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삼성병원 2형 당뇨병 환자 126만여명 추적 관찰
지속 저체중군, 지속 정상체중군보다 발병위험 61%↑

당뇨병 환자에서 심부전 유병률은 약 22%에 달하며 이는 일반인보다 약 4배나 높다. 또한 심부전 환자 중 정상 체중군보다 저체중군에서 예후가 좋지 못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당뇨병 환자에서 저체중 자체가 심부전의 새로운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런 가운데 당뇨병 환자에서 저체중이 지속될수록 추후 심부전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현철) 내분비내과 이원영, 이은정 교수, 메트로웨스트병원 유태경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 연구팀은 2009~2012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검진을 실시한 126만 8,383명의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체질량 지수(BMI)와 심부전 발생 위험도를 추적 관찰한 결과, 지속 정상 체중 군과 비교해 △정상체중에서 저체중으로 변경된 군 △저체중에서 정상체중으로 변경된 군에서 심부전 위험도가 모두 동일하게 39% 높아졌으며 지속 저체중 군에서는 심부전 발생 위험도가 61%로 높아져 가장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고 30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노인의학 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연구 시작 4년 전 BMI(체질량지수)와 연구 시작 시점의 BMI에 따라 △BMI가 모두 정상범위인 지속 정상체중 군(≥18.5kg/m2) △BMI가 모두 저체중 범위인 지속 저체중 군(<18.5kg/m2) △정상체중에서 저체중으로 변경된 군 △저체중에서 정상체중으로 변경된 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했다.
이원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저체중이 오랜 기간 지속될수록 심부전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원인은 영양결핍 또는 대사 장애로 인해 근소실 및 지방소실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체내 염증반응이 진행되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한다"고 밝혔다. 이어 "당뇨병 환자들에서는 심부전 발생 위험 높아지므로 이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한 식사, 운동 등 생활 습관 관리와 더불어 내과적 치료를 통해 심부전 및 심혈관질환 발생을 예방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병문 의료전문기자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