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 전경. [사진 = SK케미칼]](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312/66769_71856_2527.jpg)
18일 제약업계에선 온실가스 배출 감축, 재생에너지 체제 전환 등 환경보호 관련 소식이 눈길을 끈다.
SK케미칼은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로부터 2032년 단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대한 승인을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SBTi는 기업들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검증하는 글로벌 연합기구다. 지구 평균 온도 상승 폭을 섭씨 1.5도 이내로 제한하는 파리기후협약 목표 달성을 위해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세계자원연구소(WRI), 세계자연기금(WWF) 등이 공동으로 설립했다. 현재 6800여개 기업이 참여 중이다.
SK케미칼은 제품 생산단계의 직접 온실가스 배출(Scope 1)과 간접 온실가스 배출(Scope 2)의 총량을 2032년까지 2021년 대비 50.4% 줄일 계획이다. 전 밸류체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Scope 3)도 2032년까지 2021년 대비 30.0% 감축한다.
이를 위해 생산공정효율화, 전 사업장 재생에너지 보급, LNG·수소와 같은 친환경 연료 전환 등을 이어간다.
안재현 SK케미칼 대표이사는 “기후위기 문제에 책임의식을 갖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에코 트렌지션’ 노력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이해관계자에게 기후 대응 전략 과제의 이행성과를 포함한 ESG 활동을 적극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HLB가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개최된 ‘2023 지속가능경영유공 정부포상 시상식’에서 ESG종합부문 중소벤처기업부 장관표창을 수상한 가운데, 백윤기 HLB 대표(사진 오른쪽)가 상을 수여받고 있다. [사진=HLB 제공]](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312/66769_71857_2648.png)
지난 14일 HLB는 ‘2023 지속가능경영유공 정부포상 시상식’에서 ESG종합부문 중소벤처기업부 장관표창 수상 소식을 전했다.
이 상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하고 한국생산성본부가 주관해 지속가능경영 문화 확산을 선도한 기업과 기관에게 시상하는 상이다.
HLB는 세종 본사의 옥상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 온실가스 배출량을 10%가량 절감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HLB가 공개한 ‘2045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르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자발적 탄소시장(VCM)을 통한 탄소배출권 확보, 태양광 패널 설치, 무공해차 전환(K-EV100) 등을 통해 매년 점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체제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백윤기 HLB 대표는 “ESG 경영활동이 그룹 차원의 조직문화로 확고히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 SK케미칼, 아스트라제네카와 당뇨병 복합제 위택상샌·공급계약 체결
- K-제약‧바이오, 미국서 혁신 기술 선보인다…바이오USA 참가
- 스탠다임 추연성 대표 “국내 1호 FDA 허가 경험 살려 1호 AI 신약개발 도전 ”
- 국산 신약 개발 도전 24년…동아에스티 '4건'으로 최다, 녹십자·광동은 ‘0건’
- AI로 치매 잡기 나선다…예측하고 예방까지
- AI신약개발전문위원회 출범…"한국형 AI 신약개발 모델 모색"
- SK케미칼, 혈액투석 환자 가려움증 치료제 ‘레밋치 구강붕해정’ 출시
- 선박 뗀 HLB… 바이오사업 가속페달 밟는다
- [제약소식] 차바이오텍, 미혼모 보호시설 육아용품 기부 등
- [제약소식] 광동제약, '멸종위기 반려나무 나눔캠페인' 진행 등
- 美 FDA 허가, 글로벌경쟁력 평가 잣대… 올해 주인공은?
- 어디까지 치솟나?… HLB '신약 잭팟' 기대감에 투자자 '들썩'
- [제약소식] SK케미칼, 비아트리스와 '공동판매' 계약…통증 치료제 라인업 확대 등
- SK케미칼, 상반기 매출 7311억원… "제약 실적 호조로 외형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