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P-1, 체내에서 분비되는 인크레틴 계열의 호르몬
노보 노디스크 '빅토자' 시작으로 삭센다, 위고비 출시
국내에선 한미·동아·대원 등이 GLP-1 개발에 참여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현대판 만병통치약'으로 불리는 '핫'한 약물이 있다. 바로 당뇨병부터 비만까지 치료할 수 있는 GLP-1 계열 약물이다. 다국적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의 삭센다, 위고비가 대표적이다. 평생 관리해야하는 만성질환 시장을 장악한 GLP-1 계열의 약물이 어떤 기전으로 당뇨와 비만을 치료하는 걸까. 

‘GLP-1’ 우리 몸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GLP-1’은 ‘글루카곤 유사펩타이드1(glucagon-like peptide1)’으로 음식을 섭취하면 소장에서 분비되는 인크레틴 계열 호르몬 중 하나다. GLP-1은 혈당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인 ‘글루카곤’ 분비를 줄여 포도당 합성을 감소시키고, 혈중 포도당을 흡수하는 역할로 체내 혈당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GLP-1 호르몬은 뇌의 포만 중추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  위장의 연동 운동을 느리게 해 소화 속도를 늦추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체중감소에도 도움을 준다.

혈당 조절 약물, 비만치료제로 개발된 신약 ‘GLP-1 유사체’는 바로 체내 GLP-1 호르몬과 유사한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진 약물이다. 우리 몸에서도 GLP-1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왜 약물을 개발했을까?

안타깝게도 GLP-1 호르몬은 체내에서 ‘DPP4’라는 효소에 의해 1~2분 내에 분해된다. 따라서 체내에서는 약물처럼 GLP-1의 필요한 기능만 강화해 치료효과를 낼 수 없다. 건강한 사람은 호르몬과 이를 분해하는 효소가 적절히 분비되면서 항상성을 유지한다. 만약 GLP-1 호르몬이 제어되지 않고 계속 분비되면 혈당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체중은 계속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는 효소의 분비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면서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약물로 개발된 ‘GLP-1 유사체’는 체내 주입됐을 때 DPP4 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혈당 조절과 체중 감량 효과를 낼 수 있다. 

최초는 '노보 노디스크'…한미 등 국내 제약사 GLP-1 계열 개발 박차

GLP-1 계열의 신약을 최초로 선보인 곳은 노보 노디스크다. 2009년 유럽의약품청(EMA)이 노보 노디스크가 개발한 빅토자(성분명 리라글루티드)를 당뇨병 치료제로 승인했고, 이어 2010년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도 승인받았다. 이후 노보 노디스크는 또 다른 GLP-1 유사체 ‘세마글루타이드’를 개발해 2017년 FAD로부터 당뇨병 치료제로 품목허가를 받고 ‘오젬픽’을 출시했다.

노보 노디스크는 당뇨병 치료제 빅토자와 오젬픽의 체중 감량 효과를 확인하고, 같은 성분으로 용량을 달리한 비만치료제 삭센다와 위고비를 세상에 내놨다.

빅토자와 같은 성분인 '삭센다'는 2014년 FDA로부터 성인 비만치료제로 승인됐고, 2020년 소아∙청소년까지 대상이 확대됐다. 국내서는 만 12세 이상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처방이 사용이 가능하며 1일 1회 주사한다.

오젬픽과 같은 성분의 ‘위고비’는 ‘주1회 삭센다’로 불린다. 2021년 FDA로부터 비만 치료제로 허가받아 미국과 덴마크, 독일 등에서 시판됐다. 국내서는 올해 4월 식약처로부터 비만 치료제로 허가 받았고 출시 시점은 확정되지 않았다.

국내 제약사도 GLP-1 계열 약물 개발에 한창이다. 한미약품, 동아에스티, 대원제약 등이 대표적이다.

한미사이언스는 지난 13일 비만 신약 5종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를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경제적인 한국인 맞춤형 GLP-1 비만 치료제’로 개발중인 ‘에페글레나타이드’와 GLP-1 및 에너지 대사량을 높이는 글루카곤, 인슐린 분비 및 식욕 억제를 돕는 GIP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차세대 삼중작용제(LA-GLP/GIP/GCG)’를 포함한 5종의 치료제로 현재 구축된 상태다. 또 주사가 아닌 먹는 형태의 GLP-1 제제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는 GLP-1 계열 비만약 후보물질 ‘DA-1726’ 개발에 한창이다. 연내 임상 1상 시험계획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대원제약은 지난달 라파스와 공동 개발중인 비만치료제 ‘DW-1022’ 임상1상 시험계획을 신청했다. DW-1022는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를 마이크로니들 제형으로 개량한 물질이다. 마이크로니들은 피부에 부착하면 미세한 바늘을 통해 약물이 투여되기 때문에 직접 주사해야 하는 위고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