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경기 성교통(dyspareunia)은 더 이상 '단순 노화 현상'으로 치부되어선 안된다. 폐경기 성교통은 단순 증상이 아니라 질 점막 위축, 콜라겐 재생 저하, 골반저근 기능 장애, 신경·혈관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임상적 증후군이다.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 감소는 질 상피의 세포층 위축 뿐 아니라, 질 벽 콜라겐 I·III형 감소, 질 혈류 감소, pH 상승, 젖산 생성 저하까지 연쇄적인 변화로 이어진다는 점이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이는 여러 학술지, 특히 대한폐경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Menopause Society), 북미폐경학회 학술지(Menopause), 그리고 산부인과 관련 유수의 국제 학술지에서 지속적으로 다뤄져온 내용이다.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연쇄 변화 연구 결과들은 감각에도 영향을 끼쳐 성교통을 악화시키는 주요 기전으로 평가된다.
우아한여성의원에서는 성교통을 크게 세 가지 시나리오로 분류 및 접근해 치료 효율을 높인다.
첫 번째는 질 건조·점막 위축형이다. 국소 에스트로겐의 사용은 위축된 점막의 세포 증식, 혈류 개선, 점액 분비 증가, pH 정상화 등을 유도하므로 GSM(Gynecologic Syndrome of Menopause·비뇨생식기 증후군)의 핵심 치료제이다. 전신 여성호르몬치료 대비 안전성이 높아 1차 선택지로 권고된다.
두 번째는 점막 위축+구조적 변화가 복합된 혼합형이다. 이 경우 단순 호르몬 치료만으로 윤활 개선이 제한적일 수 있어 프랙셔널 CO₂ 레이저·Er:YAG 레이저·고주파(RF) 등 콜라겐 재생 에너지 장비를 병합하는 경우 환자들에게 효과적일 수 있다. 에너지 기반 치료는 섬유세포 활성화를 통해 콜라겐 형성(neo-collagenesis)을 촉진하고 질벽 두께·탄력·윤활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 된다.
세 번째는 골반저근 과긴장형 성교통이다. 폐경기 통증 경험의 누적은 골반저근의 반사적 수축을 고착시키고, 질 입구 저항 증가와 삽입 통증을 유발한다. 이 경우 바이오피드백·골반저근 이완치료·진입 훈련 등의 기능적 치료가 필수이며 점막 위축이 동반된 경우 국소 호르몬 병행이 필요하다.
폐경기 성교통은 단순 불편함을 넘어 수면·관계·정신건강·전반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병태생리 기반의 접근을 통해 정확한 유형 분류→ 원인 교정 치료→ 재활 치료의 단계적 접근을 시행하면 대부분 유의미한 호전을 보인다. 앞으로 폐경기 여성의 성건강에 대한 인식과 치료 접근의 확장이 필요하며, 일차 의료에서도 적극적 개입이 요구된다.
*아래 글은 외국인 독자를 위해 AI 도움을 받아 영어로 번역한 것입니다.
Menopausal Dyspareunia: Pathophysiology-Based Personalized Treatment Strategies
by Dong Hee Lee, Director of Wooahan(Elegant) Women's Clinic(Obstetrics and Gynecology Specialist)
Menopausal dyspareunia should no longer be dismissed as merely a 'simple sign of aging.' Menopausal dyspareunia is not just a symptom; it is a clinical syndrome resulting from the complex interplay of vaginal mucosal atrophy, reduced collagen regeneration, pelvic floor muscle dysfunction, and neurovascular changes.
It has been specifically elucidated that the postmenopausal decline in estrogen leads to a cascade of changes, including not only the atrophy of the vaginal epithelial cell layer but also a decrease in Type I and III collagen in the vaginal wall, reduced vaginal blood flow, an increase in pH, and decreased lactic acid production. This subject has been continually addressed in numerous academic journals, notably the Journal of the Korean Menopause Society,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s journal (Menopause), and prominent international journals related to obstetrics and gynecology. The research findings o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induced by estrogen deficiency are considered a major mechanism that affects sensation and exacerbates dyspareunia.
At the Wooahan(Elegant) Women's Clinic, we enhance treatment efficacy by classifying and approaching dyspareunia based on three main scenarios:
1. Vaginal Dryness and Mucosal Atrophy Type
The use of topical estrogen is the core treatment for GSM (Genitourinary Syndrome of Menopause), as it promotes cellular proliferation of the atrophied mucosa, improves blood flow, increases mucus secretion, and normalizes pH. It is recommended as the first-line choice due to its higher safety profile compared to systemic hormone therapy.
2. Mixed Type (Mucosal Atrophy + Structural Changes)
In this case, lubrication improvement may be limited with simple hormone therapy alone. Combining it with collagen regeneration energy devices such as Fractional CO₂ laser, Er:YAG laser, or Radiofrequency (RF) can be effective for patients. Energy-based treatments are reported to promote neo-collagenesis by activating fibroblasts, thereby improving vaginal wall thickness, elasticity, and lubrication function.
3. Pelvic Floor Muscle Hypertonicity Type Dyspareunia
The accumulation of painful experiences during menopause can lead to the fixation of reflexive contraction of the pelvic floor muscles, causing increased resistance at the vaginal opening and pain upon insertion. In this scenario, functional treatments such as biofeedback, pelvic floor muscle relaxation therapy, and dilator training are essential. If mucosal atrophy is also present, concurrent use of local hormones is required.
Menopausal dyspareunia is more than just discomfort; it impacts sleep, relationships, mental health, and overall quality of life. However, by implementing a pathophysiology-based approach—a staged strategy of accurate type classification → causal correction therapy → rehabilitation treatment—most patients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Moving forward, there needs to be an expansion of awareness and treatment access for the sexual health of menopausal women, and active intervention is required in primary care.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