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기반 신약개발 기업 신테카바이오(대표이사 정종선)는 자사 핵심 플랫폼 ‘딥매쳐'가 한층 진보한 '인지형 AI' 기술을 적용해 신약개발을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신테카바이오는 "'딥매쳐(DeepMatcher)'를 통해 기존 계산형 AI 방식에서 탈피해 AI 신약개발의 본질을 '인지와 해석'으로 정의했다"면서, "단백질의 구조적 특성과 생물학적 맥락을 이해하고, 후보군을 빠르게 좁혀낼 수 있는 효율성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신테카바이오에 따르면 '딥매쳐(DeepMatcher)’는 인지형 접근 방식을 구현한 플랫폼이다. 딥매쳐에는 ▲3D 단백질 구조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합 부위를 분석하고 유효 약물의 핵심 구조(scaffold)를 추출하는 인덱싱 도구인 RVR-FP(Record Virtual Rack–Fingerprint), ▲100억 개 이상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초고속으로 탐색하는 LM-VS(Language Model Virtual Screening), ▲도출된 후보 물질의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다듬는 3D-CNN(3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및 MD(동역학) 시뮬레이션 기능이 결합돼 있다.
이를 통해 단순한 도킹 계산을 넘어, 후보 탐색부터 유도체 설계, 정밀 검증까지 이어지는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로 신테카바이오는 글로벌 제약사와 다수의 공동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이미 그 가치를 입증했다.
또한 신테카바이오는 RVR-FP, LM-VS, 3D-CNN과 MD 시뮬레이션을 모두 갖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조합을 기반으로 업계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는 반자동(semi-automatic) 수준이지만, 장차 완전자동(full-automation)으로 발전시켜 OpenAI급의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테카바이오는 앞으로도 단순 계산형 AI를 넘어, 생물학적 속성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AI 플랫폼으로 신약개발의 속도와 성공 확률을 획기적으로 높여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신약개발 시장에서 새로운 혁신의 패러다임을 열어가겠다는 비전을 밝히고 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