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70~80% 치료 효과…모두 만족할 만큼 호전 안되기도
시술 땐 충분한 상담 후 숙련된 전문의에 의해 시행 바람직

신경차단술은 요통을 일으키는 신경과 근육 염증을 가라앉혀 효과가 빨라 통증완화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은 만큼 숙련된 전문의와 임상경험이 많은 의료기관에서 시행해야 한다.  사진= PMC박병원 제공.
신경차단술은 요통을 일으키는 신경과 근육 염증을 가라앉혀 효과가 빨라 통증완화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은 만큼 숙련된 전문의와 임상경험이 많은 의료기관에서 시행해야 한다.  사진= PMC박병원 제공.

목과 척추 질환은 원인과 질병이 다양하지만 가장 흔한 것이 디스크라고 불리는 '추간판탈출증'과 '협착증'이다. 증상은 대개 빈번한 통증을 비롯해 다리의 감각장애, 저림, 근력저하, 걸음걸이가 힘든 보행 장애 등이 발생한다.

추간판탈출증과 협착증은 상태에 따라 증상이 틀리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전문의에 의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척추는 통증을 빨리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근육과 신경 등이 긴장된 상태가 지속되어 통증이 만성화되어 결국 치료가 어렵게 된다.

척추 수술이 필요치 않은 초기일 경우 운동요법, 약물치료 등으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다. 먹는 약은 대부분 소염진통제와 근육이완제 등이다.

PMC박병원 박진규 병원장은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과 근육의 염증을 가라 앉혀 빠르고 효과적으로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 주사요법인 '신경차단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경차단술은 흔히 일반인에게 '뼈 주사'라고 불리기도 한다. X-레이나 초음파 등을 보면서 문제되는 병변을 찾아 약물을 주입하는 것이다.

주사에 사용되는 약제는 국소마취제, 스테로이드제제, 히알루로니데이즈, 식염수 등이 주로 사용된다.

박진규 원장은 "모든 질병치료가 그렇듯 신경차단술을 시행한 모든 환자가 만족할 만큼 호전되는 것은 아니고 약 70~80%정도의 환자에게서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박 원장은 이어 "신경차단술은 보편적으로 많이 시행되고, 단순하지만 합병증이 발생하면 심각하기 때문에 약물 선택과 시술을 할 경우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 이후에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와 관련해 지난해 11월 고려의대 유광사홀에서 대한신경외과학회(이사장 권정택 중앙대병원장)가 주최하고 대한신경외과병원협의회(회장 박진규 PMC박병원) 주관으로 척추신경차단술에 의한 연수강좌가 열려 많은 경험이 필요한 블라인드 신경차단술,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내측신경가지 차단술 및 후관절 신경차단술등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병문 의료전문기자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