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게티이미지뱅크]](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306/64577_68909_4157.jpg)
회전근개 파열 환자 10명 중 4명이 비타민D 결핍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후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은 2017년 12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어깨 관절의 회전근개가 파열돼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176명의 혈중 비타민D 농도를 분석한 결과, 44.3%(78명)가 비타민D 결핍 수치인 20ng/mL 미만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 주위를 덮고 있는 4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을 말하며, 어깨 관절의 회전운동 및 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근육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파열된 상태를 회전근개 파열이라고 한다. 주로 팔과 어깨에 통증이 나타나며, 어깨 관절에 발생하는 만성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연구팀은 비타민D 부족(20~30ng/mL) 상태는 26.7%(47명)로, 회전근개파열 환자 중 비타민D가 부족하거나 결핍 상태의 환자는 전체 환자의 71%를 차지했다.
![[사진 = 일산백병원]](https://cdn.mkhealth.co.kr/news/photo/202306/64577_68908_4118.jpg)
이 교수는 “비타민D는 회전근개를 비롯한 인체의 근육과 힘줄 등 근골격계의 건강과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은 이미 수많은 연구들을 통해 밝혀져 왔다”며 어깨 관절에서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회전근개 파열이 있는 우리나라 환자들에서 비타민D 부족과 결핍이 상당히 많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 환자들에서 실내 근무를 주로 하는 환자들이 야외 근무를 하는 환자들에 비해 비타민D 부족 또는 결핍이 더 많은 것을 확인했다. 회전근개파열 수술환자 중 실외 근무자와 실내 근무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실내 근무자가 비타민D 결핍 위험성이 3.2배가량 높았다.
이 교수는 “비타민D는 자외선 중 UVB를 직접 피부를 통해 인체에서 수용해 체내에서 비타민D가 합성된다”며 “하루에 일정 시간 동안은 햇빛을 직접 받으며 야외 활동을 하는 것이 비타민D 결핍을 방지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정형외과학회 국제학술지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에 게재됐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