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 중이던 간호사 뇌동맥류 터져 심정지 발생
즉각적인 CPR + 응급 코일색전술로 현재 회복 중
뇌 혈관 부풀어 오르는 뇌동맥류, 파열 시 사망 위험 커

병원 근무 중 뇌동맥류로 심정지가 온 간호사가 의료진의 재빠른 판단과 응급 처치로 의식을 회복한 사실이 알려져 눈길을 끈다.
10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간호사 A씨는 지난 4일 오후 1시경 근무 중 갑작스럽게 심한 두통을 호소하며 의식을 잃고 쓰려졌다. 즉시 심폐소생술(CPR) 후 응급실로 옮겨 CT 촬영을 시행한 결과 A씨의 병명은 '뇌동맥류 파열' 이었다.
뇌동맥류는 뇌혈관 벽 일부가 약해져 꽈리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로, 혈관이 파열돼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30%에 달한다. 설령 목숨을 건져도 영구 장애가 남을 수 있는 치명적 질환이다.
신경외과 임용철 교수는 상황 파악 후 즉시 A씨 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뇌혈관 조영 검사를 시행했다. 이와 함께 개두수술을 할 수 있도록 수술실을 세팅한 상태에서, 임 교수는 응급 코일색전술을 시행, 성공적으로 응급 치료를 마무리했다.
A씨가 의식을 잃고 쓰러진 후 모든 응급치료를 마치기까지 걸린 시간은 1시간 30분에 불과했다.
아주대병원 관계자는 "A씨는 현재 의식을 찾고 중환자실에서 회복 중"이라고 전했다.
A씨의 생명을 위협한 뇌동맥류는 전조증상이 없고, 언제 터질지 몰라 머릿속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요즘처럼 일교차가 심하거나 갑자기 무거운 물건을 들 때, 격렬한 운동·기침 등 갑자기 혈압이 올라가게 되면 파열될 위험이 커진다.
임용철 교수는 “A씨처럼 뇌동맥류가 터지면 최대한 빨리 시술·수술해야 생명을 살리고 영구 장애를 피할 수 있다”면서 “만약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강도의 심한 두통이 갑작스럽게 오고 마비, 언어장애, 의식저하 등이 동반되면 뇌혈관 시술이 가능한 큰 병원 응급실을 가능한 한 빨리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