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척추관협착증 진료를 받은 환자는 172만7128명으로, 10년 전인 2011년(9만6491명)에 비해 약 17.9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주로 중장년층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잘못된 자세,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젊은 층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나는 추세다.
단순히 허리 통증이라는 이유로 초기 허리디스크라고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증상이 다르고 치료 방법도 다르기에 주의해야 한다. 환자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허리디스크의 경우 앞으로 허리를 굽힐 때 통증이 심해지고,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허리를 구부리면 신경관이 넓어지면서 통증이 완화되는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또 허리디스크는 누워서 다리를 곧게 펴고 들어 올릴 때 잘 올라가지 않지만 척추관협착증은 잘 올라가는 양상을 보인다.
이밖에도 척추관협착증의 가장 큰 증상 중 하나는 하지방사통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다리가 저리거나 당기는 느낌을 유발하는 것으로 허리 아래로 타고 내려오듯이 엉덩이나 허벅지 또는 종아리 길이 방향으로 뻗치는 통증이다.
척추관협착증의 증상이 초기일 경우에는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법을 통해 증상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충분한 시간을 두고 보았음에도 호전되는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면 절개나 전신마취가 필요없는 비수술적 요법도 고려해야 한다.
척추 질환은 통증이 느껴졌을 때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아 진단 및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재발 방지를 위해선 평소 나쁜 자세나 잘못된 생활습관을 먼저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하고, 물리치료, 도수재활치료 등의 경험과 노하우가 많은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류형석 구로 서울시원한마취통증의학과 대표원장]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