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정맥류는 다리 내부에 있는 정맥 속 판막이 고장 나 혈액이 역류해 나타나는 질환이다. 다리 무거움, 당김, 통증, 가려움, 열감, 경련, 혈관돌출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방치하면 증상이 악화되어 고통스러우며 이와 함께 피부착색, 피부경화, 피부궤양 및 괴사, 혈전 등 치료가 어려운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늦지 않게 치료받는 것이 좋다.
병의 진행 정도와 환자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크게 비수술 치료와 수술치료로 나뉜다.
비수술 치료법으로는 정맥순환제 복용, 의료용 압박스타킹 착용, 혈관 경화 요법 등의 방법이 있으며 수술적 치료법으로는 발거술, 레이저, 고주파, 베나실, 클라리베인 등이 있다.
하지정맥류 치료들은 대개 예후가 양호해 정기검진을 소홀히 하는 환자분들이 많다. 하지만 하지정맥류는 치료만큼이나 사후관리가 중요하다. 제대로 된 치료를 받았다 하더라도 우리 몸의 혈액이 계속적으로 순환하는 한 하지정맥류의 재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완치판정 이후에도 새로운 정맥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정 간격으로 내원해 시술한 혈관이 정상적으로 폐쇄 및 소멸되었는지, 새로운 정맥류가 생기진 않았는지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정맥류의 정기검진에는 혈관초음파를 활용한다. 정맥질환 진단에 있어 필수적으로 시행되는 상기 검사는 피부 속 혈관의 직경, 위치, 혈액의 흐름방향과 속도, 양 등 정맥혈관의 구조와 기능을 확인할 수 있어 사후검진에도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질환이 그러하듯 하지정맥류도 한 번 치료했다 하여 다시는 이환되지 않는 질병이 아니다. 하지정맥류는 신체적, 환경적 요인 등 원인이 매우 다양하기에 재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며 만일 재발한 경우 치료가 훨씬 복잡하고 까다로운 만큼 첫 수술과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하지정맥류는 시술 기관 내원을 통한 정기적인 검진과 함께 꾸준한 운동, 식습관 교정 등 생활습관 교정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재발률을 낮출 수 있으니 잘못된 생활습관을 점검해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홍대진 강남편하지의원 원장]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