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 사이에 자라기 시작하는 사랑니는 가장 마지막으로 자라는 영구치다. 사랑니는 제3 대구치라고도 하는데, 개인마다 자라는 개수와 형태에 차이가 있다.

사랑니는 무조건 발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다만 통증이 발생했거나 사랑니가 좋지 못한 방향으로 누워있는 경우, 추후 함치성 낭종 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면 발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매복 사랑니로 인해 통증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매복 사랑니란, 치아가 뼛속에 매복되어 잇몸 밖으로 나오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아래턱에 매복된 형태가 가장 흔한 편인데, 공간이 부족해 사랑니가 맹출 하지 못하거나, 아래턱뼈의 크기가 정상 정도에 비해 작은 경우에 발생한다.

매복 사랑니의 가장 큰 문제점은 사랑니가 잇몸뼈 속에 묻혀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치아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파노라마 X-ray를 촬영해 위치를 파악하거나, 치과 CT 촬영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매복 형태의 경우 잇몸을 절개하고 발치를 해야 하며, 누워서 깊숙하게 자리 잡은 경우는 절개와 함께 사랑니를 조각 내 발치해야 한다. 이때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사랑니 주변 뼈를 조금씩 삭제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수술 중 신경을 잘못 건드릴 시 감각마비 등 부작용이 생길 위험이 있고, 출혈 및 통증도 심한 편이다.

매복 사랑니는 뼛속 깊은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 중에 신경이 다칠 수 있고, 주변 조직들과 인접해 있어 발치 난도가 높은 편이다. 안전상의 문제로 대학병원을 내원하거나, 숙련된 의료진이 있는 구강악 안면외과를 찾아 발치해야 한다.

[조현영 인천사랑니구강악안면외과치과의원 대표원장]

*본 칼럼 내용은 칼럼니스트 개인 의견으로 매경헬스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