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이은정 신경외과 교수가 소개하는 수전증 치료법

손 떨림은 40세 이상 인구의 약 4%에서 나타나는 운동장애다. 일반적으로 소뇌-뇌간-시상-대뇌피질로 연결되는 운동기능 관련 신경회로가 비정상적으로 과항진 돼 떨림이 나타난다. 파킨슨병이나 근긴장 이상증 등의 운동장애서도 손 떨림이 나타날 수 있다.
원인을 알기 어려우면 ‘본태성 진전’이라고 부른다. 본태성 진전은 안정된 상태에선 떨림이 없지만 어떤 자세나 동작을 취할 때 떨림이 생긴다. 글씨 쓰기, 젓가락질 등 일상적 행위 중 발생할 수 있고 긴장하면 증상이 심해져 일상생활중 불편함을 초래한다. 서울대병원 이은정 교수의 도움을 받아 '손 떨림'의 각종 치료법에 대해 알아봤다.
본태성 진전으로 인한 손 떨림에는 우선 약물 치료를 실시하며 환자 중 3분의 2는 증상이 개선된다. 하지만 효과가 미미하거나 부작용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전문의 진료를 통해 개개인에 적합한 약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 치료 효과가 불충분할 경우 수술 치료가 고려된다. 수술은 떨림과 관련된 신경회로에 있는 시상 중간 배쪽핵을 표적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고주파 응고술, 심부 뇌 자극술, 방사선 수술, 초음파 수술 등의 방법이 있다.

고집적 초음파 수술은 최신 치료법이다. 두개골을 투과하는 다중 초음파를 표적에 집중시켜 치료한다. 이 수술법은 초음파 에너지를 단계적으로 올리면서 떨림이 개선되는지, 신경학적 이상 증상은 없는지, 표적 위치는 적절한지 평가를 함께 진행한다. 병소의 위치, 크기, 실시간으로 만들어지는 모습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단, 두께 등 두개골 상태에 따라 수술이 제한되기도 한다.
이은정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최근 조직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 돼 에너지를 표적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며 “고집적 초음파 수술을 받은 후 하드웨어 문제가 없고, 후유증이 있더라도 일시적이고 경미해 안전성 측면에서 장점이 많다”고 말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