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진 강남편하지의원 원장
홍대진 강남편하지의원 원장

상체에 비해 하체가 유독 통통한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유형을 ‘하체비만’이라 부르곤 하는데 잘 알려져 있는 원인으로는 지방의 과도한 축적이 있다. 하지만 두꺼운 종아리의 원인을 비단 ‘지방축적’ 때문이라고 볼 수는 없다.

실제로 현대인들의 하체비만을 보면 단순히 지방이 아닌 것을 볼 수 있다. 원인은 ‘부종’에 있다. 조직 내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붓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것은 지방이 축적된 것과는 다르다. 이는 특히 오랜 시간 앉아있거나 서 있는 직종, 과격한 운동 등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혈액순환 저하는 다리 부종을 일으키는 큰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순부종의 경우 취침 전 다리 밑에 베개를 받쳐주거나 의료용 압박스타킹을 착용하거나 하는 생활관리만으로 충분히 좋아질 수 있으나 문제는 부종의 원인이 정맥순환장애로 인한 하지정맥류 때문인 경우이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에서 심장으로 향하는 정맥 내부 판막이 고장 나 혈액이 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역류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시간이 갈수록 다리 혈관의 압력이 높아져 혈관이 비틀리고 구불구불해지며 이것이 육안으로 관찰되기도 한다. 이 외 다양한 내부적 증상을 동반할 수도 있다.

또 하지정맥류는 진행성질환으로 자연적으로 좋아지지 않는다. 사람마다 진행속도는 다르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악화한다는 점은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때문에 지체 말고 정확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다리 부종과 함께 종아리 통증, 저림, 열감 등 하체 전반에 걸친 불편함이 며칠 이상 지속되거나 시간을 두고 비슷한 증상이 반복되어 신체 컨디션을 해친다면 단순 부종이 아닌 하지정맥류일 가능성이 높기에 정밀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하지정맥류는 통증, 부종, 저림, 당김 등 일상 속에서 누구나 흔하게 겪을 수 있는 증상들이 동반된다. 또한 겉으로 혈관이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어 다른 질환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하지정맥류는 내부 혈관의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질환인 만큼 눈에 보이는 것만으로 판단해선 안되며 혈관 내부를 관찰하는 혈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역류유무, 속도, 혈관직경 등을 반드시 확인해보아야 한다.

하지정맥류는 치료 타이밍이 굉장히 중요한 질환이다. 진단 및 치료는 빠르면 빠를수록 이로 인한 불편함의 범위를 줄여나갈 수 있다. 그러니 다리에 조금이라도 불편한 증상이 있다면 빠른 검진이 필요하다.

[홍대진 강남편하지의원 원장]

*본 칼럼 내용은 칼럼니스트 개인 의견으로 매경헬스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