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볍게 시작된 허리 통증이 충분한 휴식 뒤에도 이어지고, 굽히거나 쪼그려 앉았을 때 통증이 더욱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주요 원인이 척추의 퇴행성 변화인 만큼 일반적으로 고령층의 유병률이 높다. 하지만 낙상사고나 교통사고 등 척추에 강한 외부 충격을 받은 경우, 과도한 운동을 즐기는 경우 젊은 층에서도 발병할 수 있기 때문에 의심 증상이 나타난다면 연령과 상관없이 정형외과 등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관협착증의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다. 척추관은 후관절 돌기, 추궁, 황색인대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나이가 들면서 변성이 오면 척추관 전후, 좌우 사방이 좁아지면서 척수와 신경근을 눌러 혈류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면 가장 먼저 허리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처음에는 가볍게 시작해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통증이 심해진다. 사람에 따라 엉덩이나 항문 쪽에서 찌르는 듯 하거나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다리의 감각장애와 근력저하가 동반되며, 종반에는 괄약근 장애를 호소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증상이 허리 통증이라는 점에서 허리디스크와 혼동하기 쉽지만 허리디스크의 경우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심해지는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숙이면 통증이 완화되는 것이 특징적인 차이점이다. 이로 인해 중증의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통증으로 인해 허리를 제대로 펴지 못하고, 굽은 자세로 생활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초기에 척추관협착증을 진단받은 경우라면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증상 개선이 가능하다. 통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신경주사치료는 즉각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고, 고혈압이나 당뇨 등 만성질환자에도 적용이 가능해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다. 의사의 진단에 따라 약물치료,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 등을 병행하기도 한다.
척추관협착증은 가벼운 허리 통증으로 시작되지만 방치하면 보행장애, 배뇨장애 등으로 증상이 악화할 수 있는 만큼 의심 증상이 있다면 초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수술 치료법의 경우 고령층에도 안정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만큼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을 선택해 꾸준히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척추 건강을 지키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류성원 울트라정형외과 원장]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