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측으로 넘기세요

Q. 코로나19와 독감, 동시에 걸리는 게 가능한가?

가능하다. 심지어 코로나19와 독감에 동시 감염되면 사망할 확률이 급격히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노인이나 당뇨병·고혈압 등 기저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은 면역력이 약해 동시 감염되면 치명적이므로 독감이 유행하기 전 반드시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Q. 코로나19백신-독감 백신, 같이 맞아도 되나?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예방접종 실시 기준(2021.8.31 발표)에 의하면,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 자료는 제한적이나 다른 백신과 접종 간격에 관계 없이 접종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안정성이 걱정된다면 1주 정도 간격을 두는 것을 권고한다.
 

Q. 독감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효과 있나?

독감 백신이 코로나19 백신을 대체할 수는 없다. 하지만 독감 백신이 코로나19 중증 비율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가 보고됐다. 

미국 마이애미 밀러 의대 교수팀은 최근 온라인에서 진행된 ‘유럽 임상 미생물학 및 전염병 학회’(ECCMID 2021)에서 “독감 예방접종이 코로나19가 중증으로 심화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 의하면 독감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들이 독감 백신 접종자보다 중환자실 입원 가능성이 최대 20% 정도 높았고, 응급실 방문 가능성은 최대 58%까지 더 높았다. 다만 사망 위험은 독감 백신을 맞았다고 해서 줄어들지는 않았다.

 

Q. 독감과 코로나19 증상이 비슷한데 일반인이 구분할 수 있나?

환자뿐 아니라 의료진도 증상만으로는 독감과 코로나19를 구분하기는 매우 어렵다. 다만 코로나19의 경우 미각이나 후각 소실이 있다는 게 약간의 차이점이다.

 

Q. 독감 백신 접종 주기는?

매년 맞아야 한다. 독감 바이러스는 변이가 잘 되는 RNA형 바이러스로 유전자 변형이 계속 일어나기 때문에 그 종류가 200개가 넘고 매년 유행하는 종류도 달라져 백신에 들어있는 항원도 매년 바뀐다. 또한 효과가 유지되는 기간도 짧은 편이며, 다른 백신에 비해 항체가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는 편이라 건강한 사람도 효과가 1년 정도만 유지된다.

 

Q. 독감 백신의 예방력은?

40~60% 정도다. '절반 안팎인데 굳이 맞을 필요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도 있으나, 백신을 맞으면 독감에 걸리더라도 덜 앓고 넘길 수 있고 병원 신세를 지지 않을 수 있다.

 

Q. 독감 백신 비용이 병원마다 다른 이유는?

현재 국가예방접종에 사용되는 백신은 공급 단가가 정해져 있지만, 그 외 대상자들을 위한 백신은 민간 시장 영역이다 보니 백신 제조회사, 접종 병의원에 따라 가격 책정이 자유롭고 또 비급여 품목이기 때문에 병의원 임의대로 비용을 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어떤 제조사가 만들었든 같은 4가 백신이면 예방률에는 차이가 없다.

 

Q. 독감 백신 맞고 문지르면 된다? 안 된다?

문지른다고 약이 많이 흡수되는 것도 아니며, 오히려 근육에 자극을 주어 주삿바늘이 꽂혔던 주변 조직에 더 많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황선미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 내과 전문의는 "성인의 경우 백신을 접종하지 않으면 독감으로 사망할 위험이 5배 높아지고, 아동의 경우 백신을 접종하면 독감으로 사망할 위험이 절반으로 줄어든다"며 "따라서 전문가들은 ‘안 맞는 것보다 낫다’는 정도가 아니라 ‘반드시 맞으라’고 권고하고 있다"고 조언했다.

*의료자문 : 황선미 내과 전문의(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