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측으로 넘기세요
코로나19 장기화 속에 캠핑, 차박이 여행의 대안이 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면서 할 수 있는 소규모 야외활동이란 이점 때문인데 매년 안전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캠핑용품 관련 안전사고는 총 396건. 2018년 115건 → 2019년 139건 → 2020년 142건으로 매년 증가세다.
이중 245건(61.9%)이 가스 누설, 과열, 발화·불꽃 폭발 등 '화재' 관련 사고였다. 부탄가스(81건), 불꽃놀이 제품(31건), 화로(불판)(23건), 야외용 버너(23건), 목탄(숯)(20건) 순이다.
부탄가스는 무색의 석유계 가스로 열에 장시간 노출되면 폭발 우려가 있다. 삼발이보다 큰 조리기구 사용을 금하고 더운 날씨에 장시간 방치하지 않도록 보관한다.
불꽃놀이 제품은 불꽃이 튀어 화재나 화상을 일으키고 눈에 들어가면 시력을 잃을 수도 있다. 특히 어린이가 혼자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점화에 실패한 제품은 다시 점화하지 않는다. 사설 캠핑장의 경우 불꽃놀이·폭죽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연소용 난로는 텐트, 차량 등 밀폐된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이 있고 텐트나 담요 등으로 옮겨 붙을 수 있다. 반드시 텐트 밖에서 확실히 고정해 사용한다.
캠핑 후 잔불 처리는 화재 사고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화로에 불이 꺼진 것처럼 보여도 숯이나 재에 남은 불씨가 다시 살아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소화기나 물을 사용해 불씨를 완전히 제압해야 한다.
만일 화상 사고를 입었을 경우에는 먼저 화상 부위의 옷을 탈의 또는 가위로 잘라낸 뒤 흐르는 물로 15분 이상 식혀준다. 이후 감염이 되지 않도록 화상 부위를 보존한 뒤 신속히 병원을 찾아 치료 받도록 한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