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의 스마트 기기 사용 증가로 앉아서 활동하는 시간이 늘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 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해 목, 어깨, 허리 등 척추 관절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로 인해 재택근무를 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근골격계 질환으로 내원하는 환자들의 수가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척추는 집을 지을 때 기둥에 해당하는 부분과 같이 우리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중요한 신경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운동량이 줄거나 장시간 삐뚤어진 자세가 유지로 척추가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정면에서 봤을 때 수직으로 곧아야 할 척추가 C자형이나 S자형으로 변형되거나 몸이 좌우로 기울어지며 여러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을 척추측만증이라 한다.
척추측만증과 함께 장시간 구부정한 자세나 턱을 괴는 자세로 인해 목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일자목이나 거북목이 나타날 수 있다. 일자목은 경추 주변의 근육 경직에 의해 나타나며 이런 경우 목이 머리의 무게와 외부의 충격을 과도하게 받을 시 쉽게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더불어 초기의 통증을 간과하고 방치하게 되면 목 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측만증과 함께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는 일자목, 거북복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은 증상 초기에 내원하여 치료를 시작한다면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통증이 호전될 수 있다. 척추측만증의 경우 증상 초기 통증이 경미해 방치하는 경우가 흔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척추의 변형이 진행돼 다리가 저리거나 하지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측만증은 척추의 휘어짐 뿐 아니라 소화불량, 경추성 두통 등 다양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고 심한 경우 허리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일자목, 거북목과 같은 질환은 목 디스크로 발전되기 전에 재활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로 통증을 완화하고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되도록 평소와 다른 통증이 지속할 시 내원을 통해 진단 및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평소 척추측만증과 목디스크와 같은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장시간 앉아 있는 자세를 피하고 주기적으로 스트레칭을 해 근육의 긴장도를 풀어주는 것이 좋다. 더불어 의식적으로 의자에 앉을 때 허리에 힘을 주고 엉덩이를 의자 끝까지 밀어 앉는 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박천웅 굿연세재활의학과 원장]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