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영상검사에 현장에서는 인력난
의료AI, 도움 되지만 인력난 해소는 못해
“정원 늘리고, 불필요한 영상 검사 줄여야”

대표 인기과 영상의학과가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영상검사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시행할 전문의가 부족하다는 것이 이유다. 현장에서는 과도한 업무에 여기저기 곡소리가 나고 있다. 여기에 로컬병원에 비해 연봉까지 낮아 대형병원을 떠나는 전문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상의학과는 X-ray, 초음파, CT, MRI 등 영상진단 의료기기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분과다. 영상검사는 더 정확한 진료를 위해 진행하며 몸속의 병변을 확인하거나 병의 진행 속도 등을 알 수 있다.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진단 목적의 영상검사를 시행하고 이를 판독한다. 뿐만 아니라 색전술, 고주파 열치료, 동맥류코일삽입 같은 중재적 시술도 한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 증가하는 영상검사, 부족한 영상의학 전문의 

영상의학과는 대표적인 인기과목이다. 2023년 전반기 전공의 모집을 살펴보면 영상의학과가 정형외과, 피부과 등과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하지만 현장에선 인력이 부족해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다. 이유는 급격히 증가하는 영상검사 수요를 전문의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국내 영상검사는 연평균 7% 증가하고 있지만,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연평균 3% 증가하고 있다. 영상검사가 증가한 이유는 최근 대부분 질병 진단에 영상검사가 필수가 됐고, 급여화가 되면서 환자들의 부담이 적어져 검사가 늘었다.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의 한 대학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는 “영상의학과 전문의 부족은 서서히 진행됐다. 결정적 계기는 1999년이다. 당시 전문의판독료 삭제로 전공의 지원률이 30~40%에 불과했고 한 세대가 비어버리니 이후 부족 현상이 계속됐다. 대형병원 쏠림현상도 이유”라고 말했다.

◆ 과도한 업무에 번아웃까지…의료AI가 인력난 해결? 

현장에서는 전문의 부족으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영상검사가 많아 전문의들은 과도한 판독업무를 담당해야 하고 빠른 시간에 많은 판독을 해야하니 정확성 역시 위협받고 있다. 과도한 업무는 전문의들의 번아웃을 일으키기도 한다. 지방은 영상의학과 전문의를 구하기 힘들어 진료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수도권 전문의보다 급여가 많게는 2배 높다.

의료AI는 인력난을 해결할 대안 중 하나로 꼽힌다. 의료AI는 의료영상을 분석해 질병을 예측하거나 의료진의 진단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영상검사가 의사의 판독보다 더 빠르고 정확해 미래에는 의사를 대체할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의료AI가 영상의학에 도움을 주는 것은 맞지만 인력난을 해소할 수준은 아니라는 평가다.

한 영상의학과 관계자는 “의료AI가 정확도는 높지만, 오히려 판독시간은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민감도가 높으면 가짜 병변을 많이 잡아내는데, 의료AI는 민감도가 높아 의사가 가짜를 구분해야 하므로 시간이 더 걸린다”며 “그래도 도움이 된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가짜를 찾아내니 오히려 힘들다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 영상의학과 인력난 해결하려면?

의료계에서는 영상의학과 인력난 해결을 위해선 정원을 늘리거나 불필요한 검사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제를 해결할 가장 명확한 방법은 정원 증가지만 말처럼 쉽지않다. 현재 영상의학과가 인기과로 주목받고 있지만, 언제까지 지속될지 모르고 무턱대고 정원을 늘리는 것이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의료계에서도 정원 증가에 대해 신중한 입장이다.

또 다른 방법은 불필요한 영상검사를 줄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적응증은 되지 않지만, 환자가 원해 시행하는 검사, 효과는 불분명하나 관례에 의해 행하는 검사, 합리적인 근거하에 영상검사 주기를 재조정하면 줄일 수 있는 검사들을 말한다. 

이 교수는 “인력난 해결을 위해서는 일단 전공의 정원 증가가 이루어져야 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영상검사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불필요한 영상검사를 줄이기 위해서는 병원 내 의사들간에 합의와 문헌이나 연구를 통한 근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