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속 세균이 만드는 휘발성 황화합물이 악취 유발
구강 위생과 충분한 수분 공급으로 입냄새 예방 가능
오랜 기간 지속되는 입냄새는 정확한 원인 찾아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주춤했던 껌의 인기가 되살아났다. 엔데믹(코로나19의 풍토병화)이 본격화되고 대면 활동이 늘자 입냄새를 가리기 위해 껌을 찾는 사람이 늘어난 것. 

실제 지난해 편의점 GS25의 껌 매출은 전년 대비 10.5% 성장했다. 코로나19 확산 당시 매출 성장률이 2020년 0.6%, 2021년 0.3%에 그친 것을 보면 괄목할 수치다.

올해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까지 해제돼 껌을 찾는 이들은 더욱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껌이 입냄새 해결의 능사는 아니다. 올바른 입냄새 예방법을 알아보자. 

◆ 건조한 입에서 증식한 세균, 입냄새 원인 

입냄새(구취)를 일으키는 원인은 '세균'이다. 입 속 세균은 음식물 찌꺼기를 영양분으로 삼는데,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휘발성 황화합물을 발생시킨다. 이 휘발성 황화합물이 고약한 냄새를 풍긴다. 

세균은 침 분비가 줄어 입 안이 건조할수록 잘 생긴다. 자고 일어나면 입냄새가 심한 것도 이 때문이다. 자는 동안은 침이 적게 분비된다.

이외에도 지나친 치태(치석 전 단계)나 치석, 치주질환, 구강암, 공복, 흡연, 호르몬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입냄새를 유발할 수 있다. 구강으로 인한 입냄새가 전체 원인의 85~90% 정도라고 알려졌다. 

코로나19로 생활이 된 마스크 착용도 입냄새를 유발한다. 구강에 산소가 잘 공급되지 않아 입이 건조해지기 때문. 또 공기가 마스크 안에만 고여 더욱 입 안을 마르게 만든다. 

입냄새를 확인하고 싶다면 빈 종이컵에 숨을 내쉰 후 맡거나, 면봉으로 혓바닥을 닦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입 냄새 유발 물질은 휘발성이 강해 금방 사라져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입냄새가 심하다고 느껴진다면 치과에서 구취측정기로 판단하는 것이 좋다. 

이연희 경희대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는 "입냄새가 만성적이라면 병원에서 구강 내 원인을 살펴보는 등의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올바른 칫솔질·혀클리너 사용 등이 핵심 

올바른 칫솔질 방법.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올바른 칫솔질 방법.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입냄새 예방의 기본은 구강 위생이다. 올바른 칫솔질로 음식물 찌꺼기가 입에 남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혀를 잘 닦는 것이 중요하다. 구강에서도 세균이 가장 번식하기 쉬운 곳이 혀이기 때문. 혀 표면 오돌토돌한 '설유듀'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잘 남는다. 

혀를 닦을 때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3~4차례 반복해서 닦아주되, 설유두가 손상되지 않도록 힘을 강하지 않게 조절한다. 혀 안쪽 부분에 구취 유발 세균이 가장 많아 안쪽까지 닦아주는 것이 좋다.

혀를 닦을 때 헛구역질이 나서 힘들다면 호흡을 수 초 동안 멈추고 닦거나, 혀의 다른 부분을 자극한다면 도움이 된다. 하루 1~2회 혀클리너로 설태(혀 표면에 생긴 세균)을 부드럽게 긁어 낸 후 입을 물로 헹구는 것도 효과적이다. 

◆ 생활습관 고쳐도 계속된다면 병원 찾아야 

올바른 생활습관도 중요하다. 입 안이 건조하지 않게 하루 1.5~2리터의 물을 마셔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설탕이 들어있거나 산성이 강한 음료는 피한다. 충치와 치아 부식 위험을 높인다. 녹차 속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탈취 효과가 있어 입냄새 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 코로 호흡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입으로 숨을 쉬면 코로 쉴 때보다 구강이 쉽게 건조해진다. 휘발성 황화합물이 많이 들어있는 마늘, 파, 양파 등은 피한다. 

공복엔 입냄새가 심해지므로 규칙적인 식사를 해야 한다. 양치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물로 구강을 여러 번 헹궈내고 5분 정도 무설탕 껍을 씹으면 좋다. 최소 1년에 1~2회의 스케일링, 구강 상태에 따른 잇몸 치료도 필요하다. 구강세정제를 사용한다면 알코올이 없는 제품을 고른다. 구강 점막을 자극해 입을 더 건조하게 한다. 

고홍섭 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는 "평소 치실과 치간칫솔, 혀 클리너 등을 활용하여 구강 위생을 꼼꼼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꾸준한 노력에도 입 냄새가 줄지 않는다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