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센다가 열고, 위고비가 키운 시장…마운자로가 끝낼까?"
빠른 감량 효과에 관심 집중…부작용과 오남용 우려도 함께 커져
최근 '살 빼는 주사'로 불리는 비만 치료제들이 소셜미디어와 유튜브 등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삭센다, 위고비에 이어 미국에서 고도비만 치료제로 승인받은 릴리의 신약 '마운자로'도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어, 국내 비만 치료제 시장은 본격적인 경쟁 시대에 돌입했다. 그러나 빠른 체중 감량 효과를 내세운 이들 주사제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끄는 동시에, 부작용과 오남용 우려 등 안전성 문제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가장 먼저 국내 비만 치료 시장을 뒤 흔든 건 삭센다였다. 노보 노디스크의 첫 비만 치료제인 삭센다는 리라글루타이드 성분으로 하루 한 번 주사하는 방식이다. 국내에는 2018년 출시돼 비교적 오래된 제품이지만, 여전히 사용자는 많은 편이다.
역시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는 삭센다보다 강력한 성분(세마글루타이드)을 주 1회만 맞는 방식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의약품 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위고비의 점유율은 73%에 달한다
그런데 위고비가 장악하다시피한 비만 치료제 시장에 새로운 새로운 강자가 등장을 예고했다. 일라이 릴리의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가 다음 달 국내 출시를 확정한 것.
주 1회 투여만으로 체중을 20% 이상 감량시킨 것으로 알려진 이 혁신 신약은, 경쟁 약물인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보다 낮은 가격에 공급 예정이어서 국내 비만 치료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전망이다. 특히 위고비로 살을 뺀 일론머스크가 이제는 마운자로로 살을 뺀다고 해서 더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위고비나 마운자로 모두 GLP-1(Glucagon-like peptide-1) 유사체 또는 관련 호르몬을 기반으로, 식욕을 줄이고 포만감을 높이며 체중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원래는 당뇨병 치료용으로 개발한 주사제인데 비만 치료로도 효과를 입증했다.
이 같은 치료제들의 확산으로 '비만 치료=약물'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부작용과 안전성 우려도 적지 않다.
지난해 말 대한비만학회는 "비만병 치료 목적이 아닌 미용 등 목적으로 사용하면 치료 효과를 얻기보다는 부작용을 경험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의료기관에 입원하거나 사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23년 GLP-1 계열 약물 사용 후 위장장애·췌장염·담낭질환 등 부작용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국내에서도 삭센다나 위고비 사용 후 구토, 설사, 변비, 두통 등을 경험했다는 사례가 커뮤니티에 돌고 있다.
식약처는 GLP-1 계열 약물의 사용과 관련해 "BMI 30 이상인 고도비만자나, 27 이상이면서 고혈압·고지혈증 등 동반질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전문의 처방하에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고 전했다. 단순한 미용 목적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가격도 만만치 않다. 위고비의 경우, 1펜만 처방받는 경우 50만원 이하로도 가능하지만, 췌장염 수치를 확인하기 위해 피검사를 시행하고 인바디까지 포함할 경우 1펜에 60만원을 넘기도 한다.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장기 복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도 크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GLP-1 계열 전반에 걸쳐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다시 체중이 증가하는 '리바운드 현상'이 상당히 일어난다는 데이터도 다수 존재한다.
의료계는 비만 치료 잠재력은 인정하면서도 "약물은 도구일 뿐, 식습관 개선과 운동 없이 기대하는 효과는 일시적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상원 고촌 원탑가정의학과 원장은 "위고비나 마운자로 모두 포만감을 유도하는 호르몬에 작용해 식사량을 조절하는 주사지만, 주사치료 기간동안 식습관 개선과 적절한 운동으로 근육량을 유지하지 않으면 주사치료가 끝난 후 급격한 요요가 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전 세계 제약사들은 GLP-1 유사체 외에도 경구용 비만약, 이중호르몬 작용제, 대사 질환 조절제 등 차세대 치료제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과학 발전이 체중 감량 문을 여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현명하게 활용하기 위한 공공 교육과 규제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