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저림 동반된 허리 통증…'종양' 신호일수도
# 45세 여성 A씨는 최근 허리 통증에 계속 시달렸다.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은 요통으로 여겼으나, 통증은 점점 심해졌다. 잠을 방해하고 다리 저림까지 생겼다. 참지 못하고 병원을 찾은 A씨가 진단받은 병은 '척추 종양' 이었다.
척추종양은 척추에 생긴 종양이다. 초기에는 증상이 일반적인 요통과 유사해 알아차리기 어렵다. 하지만 많이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심하고 몇 주 간 계속된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척추종양은 척추뼈에 발생하는 '척추뼈 종양'과 척수 및 신경에 생긴 '척수신경 종양'으로 나뉜다. 발생 원인은 다양한데, 다른 장기에서 전이된 전이성 종양이 가장 흔하다.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이 척추로 쉽게 전이된다.
원발성 척추 종양에는 척추뼈에서 발생하는 골육종, 척삭종과 같은 종양부터 척수 내부에서 자라는 성상세포종, 뇌실막세포종, 그리고 경막 내 척수 외 부위에 생기는 수막종, 신경초종 등이 있다. 종양 종류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지지만, 대부분은 수술을 통한 완전 절제가 예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된다.
척추 종양의 증상은 지속적인 등, 허리, 목 통증이 대표적이다. 종양이 커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면 해당 부위에 따라 저림, 감각 저하, 근력 마비 등 증상이 동반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MRI 검사가 필수이고 전이성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PET-CT 등 원발암을 찾기 위한 추가 검사가 병행된다.
척추 종양 치료는 특징에 따라 다르다. 원발성 척추 종양은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이 가장 중요하다. 완전 절제가 어려울 경우 종양의 크기를 줄이는 방사선 치료 등을 고려한다.
허준석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전이성 척추 종양은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 등을 병행해 원발암과 함께 종양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며 "종양이 신경을 압박하거나 척추가 악화된 경우 수술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해 환자의 전신 상태와 종양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최적의 치료법을 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