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대한재활의료기관협회 제공
사진 = 대한재활의료기관협회 제공

대한재활의료기관협회(회장 이상운)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회장 김철중)와 지난 24일 일산 킨텍스에서 ‘재활의료기관제도 활성화를 위한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고 전했다.

2022년 재활복지박람회(리케어 RECARE 2022) 부대행사 중 하나로 마련된 이번 세미나는 시행 3년째인 ‘재활의료기관제도’가 회복기재활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활성화에 걸림돌은 무엇이 있는지,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지 등을 살펴보기 위한 내용을 다뤘다.

‘재활의료기관제도’는 회복기 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이 경제적, 치료적 면에서 큰 힘을 얻고 가정과 사회로 빠른 복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고령, 초고령 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한 제도로 꼽힌다.

하지만 한정적인 대상 질환과 규정으로 재활을 전문으로 하는 재활의료기관이 요양병원보다 더 많은 ‘재활’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홍보 부족으로 환자들이 해당 제도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재활의료기관은 2019년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해 현재 45곳(1기 26곳, 2기 19곳)이 지정·운영되고 있으며, 내년 2기가 가동된다.

세미나에 참석한 우봉식 아이엠재활병원 병원장(재활의료기관협회 부회장)은 시행 초기에 있는 우리나라 재활의료기관들이 연착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강한 규제와 낮은 수가 때문이라며 개선을 주장했다. 또 급성기와 만성기(요양) 사이의 회복기병원 종별신설을 주장하며, 한국형 의료복지복합체 모델 구축도 재활의료기관이 나아갈 길로 제시했다.

김돈규 재활의학회 정책위원장은 “현재 선두 역할을 하고 있는 1기 재활병원들이 코로나19로 인해 힘들어 하고 특히 회복기재활환자군 비율 40%를 맞추기 어려워 한다고 들었다”며 일반 환자를 퇴원시켜 기준을 지키는 현실은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찬우 척수장애인협회 정책위원장은 “재활선진국을 보면 퇴원에 앞서 한달전부터 전원생활을 하도록 하거나 위험관리도 한다.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밖에서 하는 생활 모두를 가르치고, 8주간 출퇴근도 경험하게 한다”며 “재활의료기관에서 포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고 했다.

그러면서 특화된 재활의료기관 운영을 제안하고, 회복기재활을 받고 집에서 생활이 가능하도록 종합적인 큰 그림을 그렸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박미라 보건복지부 의료기관정책과장은 “재활의료기관은 외적으로는 전달체계 제대로 안돼 있고, 내적으로는 환자구성 비율이 한정돼 있어 경영이 어렵다고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보건복지부는 어떤 속도로 갈 것인지 현재는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고 있는 단계”라고 전했다.

또 회복기 병상관 관련해서는 2028년까지 최대 2만5,000병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는 결국 재정을 수반해야 해서 타 협회나 학회의 역할도 필요하기에 속도에 대한 고민을 하겠다고 설명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