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된 지난 22일 서울광장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작업자들이 시설을 철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된 지난 22일 서울광장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작업자들이 시설을 철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추억은 미화된다고 하지만 코로나19가 휩쓸고 간 지난 2년은 그렇지 않다. 갈등과 충돌, 불통의 얼룩진 기억이 대부분이니 말이다.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전 세계가 극찬한 K-방역의 핵심이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막기 위한 가장 기초적이고, 효과적인 대책이란 설명에 국민은 자발적으로 개인정보마저 포기했다. 저마다 온 힘을 다해 '안전거리'를 유지했다. 그것이 가족과 사회의 안전을 지키는 길이라 굳게 믿었다.

하지만, 이때부터 역설적으로 '확진자=방역 미참여자'라는 주홍글씨가 새겨지기 시작했다. 쌓여가는 피로와 분노를 쏟을 곳 없던 대중은 정부가 내놓은 동선 공개를 '좌표' 삼아 확진자의 개인정보를 캐내고 조리돌림 했다. 정부와 지자체도 똑같은 국민의 한 사람인 확진자를 서슴없이 '고발'했다. 평상시에는 사회적 폭력으로 불렸던 일들이 어느새 정당한 응징으로 탈바꿈했다. 끔찍한 시간이었다.

국민은 쓰디쓴 인고의 시간을 감내하며 집단면역이란 열매를 기다렸다. 정부도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고, 전 국민의 80%가 이를 맞으면 일상회복이 가능하다며 대중을 달랬다. 조금이라도 반발이 감지되거나 참여가 느슨해지면 "앞으로 2주가 고비"라며 겁박과 회유를 일삼았다.

하지만, 인간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 속도를 따라잡지 못했다. 집단면역은 결국 신기루였다. 그럼에도 정부가 내놓은 실효성 있는 방역 대책은 사회적 거리두기 '유지'뿐이었다. 백신 접종 목적을 감염 예방에서 위중증 관리로 슬쩍 바꾸더니 이번엔 '백신 패스'라는 새로운 목줄로 국민을 옥죄려고 했다.

그랬던 정부가 지난달 18일, 2년 1개월 만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전면 해제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100명대일 때부터 갖은 수를 써가며 유지했던 방역 정책을 그 수가 수만 명에 이르는 지금 해제한다고 하니 이런 아이러니가 없다. 많은 국민이 꼭두각시놀음에 당한 듯 허탈감을 느끼는 것이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코로나19는 정치와 정책을 바라보는 국민의 '눈'을 완전히 뒤바꿨다. 실제 복지, 부동산 등 다른 정책과 달리 코로나19 방역 정책은 성별, 나이, 직위를 막론하고 전 국민에게 영향을 미쳤다. 누구나, 하루 만에 할 수 있던 일을 하지 못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해야만 했던 전무후무한 2년이었다.

그런만큼 차기 정부의 방역 정책에 대한 국민의 눈높이는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코로나19 '덕분에' 정부의 정책이 본인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됐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윤석열 정부는 코로나19 극복을 대선 공약 1순위로 정했다. 벌써 삐걱거리는 모양새지만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여전히 기대가 크다. 

다만, 이것 하나 만은 명심하길 바란다. 코로나19 시즌2에서 '처음' '신종'이란 변명은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다. 무조건 밀어붙이는 방역 대책은 대중의 반감만 살 것이다. 국민은 이제 정책의 강제보다 설명을 원한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