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끊임없는 등장으로 팬데믹의 끝이 안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제약사들이 힘을 모았다. 

지난달 29일 에스티팜, 한미약품, GC녹십자가 주축이 되고,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이 지원하는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이 출범. 이들은 각자 역할을 정해 국산 mRNA 백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미지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미지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각 사는 그들이 가진 장점을 바탕으로 코로나19 백신 개발에서 역할을 나눴다. 한미약품은 mRNA 백신 생산에 필요한 pDNA(플라스미드 DNA)를 공급하고, 에스티팜은 그 원료를 가공해 백신 원액을 생산하면, 이후 GC녹십자는 완제의약품 생산을 맡는 구조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미약품은 mRNA 백신 생산에 필요한 pDNA(플라스미드 DNA)를 공급한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이전에도 신약 개발에 나서 전임상과 허가 직전까지 해 본 경험을 살려 이번 컨소시엄에서도 백신의 핵심 원료 제공을 맡았다"며 "특히 계열사인 한미정밀화학은 mRNA 원료 합성 성공도 이번 백신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에스티팜은 생산된 원료를 가지고 LNP 기술 등을  이용해 임상을 하고, 실제 백신의 원액 생산을 맡는다. 에스티팜은 최근 발굴한 후보물질 'STP2104'로 실험실에서 실제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는지 면역원성 시험을 하고 있다. 결과에 따라 연내 임상을 거쳐 내년 말에는 상용화를 목표로 두고 있다. 이와 별개로 변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후보물질도 연내 발굴할 계획이다.

GC녹십자는 생산된 원액을 가지고 완제의약품 생산을 한다.

GC녹십자 관계자는 "현재 완제 독감 백신 4억 도즈 생산규모의 백신 cGMP 생산공장을 가동하고 있다"며 "지난해 1월엔 충북 오창에 완제 충진포장 생산 DP(drug product) 시설인 통합완제관을 완공. 이미 3~4년전부터 바이오 의약품 CMO를 겨냥했다"고 말했다.
 
다만 현 단계는 처음 컨소시엄이 정해져서 3개사가 가진 장점과 노하우를 공개한 1단계이고, 구체적인 개발 방향성이 확정 된 것은 아니라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각 사는 해외 국가들에서 글로벌 임상 시험도 함께 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KIMCo는 컨소시엄 운영 지원 및 관리, 정부와 민간의 투자 유치, 정부의 정책 지원 요청 등을 담당한다.

KIMCo는 지난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국내 56개 제약사가 공동 출자한 컨소시엄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계 최초의 공동 투자·개발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전 세계 mRNA 백신 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640억 달러(한화 약 72조 원)으로 예측하고 있다. 연평균 11% 이상 성장해 20207년엔 1,270억 달러(한화 약 14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는 미국의 모더나와 화이자가 mRNA 백신 개발에 성공했다. 모더나의 지난해 매출은 8억 달러에서 올해 192억 달러(한화 약 21조 8천억 원)로 전망됐다. 

화이자는 지난해 4분기 코로나19 백신으로만 1억 5,400만 달러(한화 약 1,748억 원)을 기록했고, 올해는 약 260억 달러(한화 약 29조 5천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매경헬스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억울한 혹은 따뜻한 사연을 24시간 기다립니다.
이메일 jebo@mkhealth.co.kr 대표전화 02-2000-5802 홈페이지 기사제보

저작권자 © 매경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